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철학

도롱이
도롱이

철학에서 주장하는 소극적 쾌락주의는 무엇을 뜻하나요?

쾌락의 역설을 비판하면서 주장한 이론이 소극적 쾌락주의라고 하던데, 즉, 쾌락을 추구하는 자세가 소극적이어야 한다는 건가요? 어떻게 쾌락을 추구하라는 건지 용어만으로는 와닿지 않아 어떤 이론인지 설명을 듣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육체적 순간적 쾌락은 쾌락이 지속적이지 않고 고통이 따르는 쾌락에 역설에 빠지기 때문에 정신적 지속적 쾌락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 에피쿠로스가 주장한 것입니다. 소극적 쾌락주의는 곧 제욕주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밥을 먹는 것과 잠을 자는 것은 필요하지만 맛집을 찾아다닌다거나 고급호텔에서 숙박을 하는 것을 자연적이지도 필수적이지도 않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극적 쾌락주의는 육체적의 순간적인 쾌락을 추구하기보다는 고통이 없어져서 심신이 평화로운 상태인 아타락시아를 추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쾌락주의는 쾌락을 최고선이자 삶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보는 것인데 자연철학에 의해서 맹아적 형태로 시작된 쾌락주의는 소피스트와 키레네학파를 거쳐서 에피쿠로스에 의해서 고대적 쾌락주의의 완성된 모습을 갖추게 된다고 합니다. 고대의 쾌락주의는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진다고 하는데 그 하나는 감각적․적극적․무도덕주의적․이기적 쾌락주의 노선이고, 다른 하나는 정신적ㆍ소극적ㆍ도덕적ㆍ개인주의적 쾌락주의 노선 입니다. 여기서 소극적 쾌락 주의는 쾌락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기보다는 고통과 불안을 제거하여 평온함에 이르고자 하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