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 라니냐현상과 엘니뇨 현상이란 말을 듣게 되는데 이 용어는 무슨말인가요?
요즘에 라니냐현상과 엘니뇨 현상이란 말을 듣게 되는데 이 용어는 무슨말인가요?
어떤 기상상황일대 이런말을 쓰는건가요?
자주 듣는 말인데 잘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엘리뇨는 태평양 동부와 중부 적도 지역이ㅡ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으로서 바닷물이 평소보다 따뜼해지며 바람과 해류의 패턴도 크게 변동되는 현상이지요~엘리뇨가 발생하면 태평양 서부지역은 건조해지고 가뭄이 발생하며 남아메리카 서해안 지역은 해수면의 온도를 상승시켜 강수량이 증가하고 홍수나 폭우 같은 기상재해를 발생시키게 하지요~ 전세계적으로 엘리뇨가 발생하면 온난화경향을 보이며 극심한 강우 가뭄등의 극단적인 현상을 일으키게 합니다. 라니냐는 엘리뇨와 반대이며 태평양 동부와 중부 적도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을 일컫습니다. 태평양 서부지역은 더 ㅁ낳은 강우와 홍수가 발생하며 남아메리카 서해안은 건조해져 가뭄이 발생하게 되지요. 전세계적으로 기온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이며 극심한 추위와 폭설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엘리뇨와 라니냐는 무역풍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ㄸ라 달라지게 되는데 엘리뇨는 무역풍이 약해지거나 반대로 불게 되면서 해수가 동쪽으로 밀려 나가면서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며 라니냐는 더 많은 차가운 해수가 동태평양에 축적되고 서태평양은 습해지게 되면서 나타나게 되는것입니다~ 엘리뇨와 라니냐는 단순히 해양 온도 변화에 국한된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기후 패턴에 큰 영향을 미치게 하고 강수량, 온도, 폭풍우, 가뭄 등에 영향을 미쳐 기상이변현상이 나타나게 되는것이지요~ 엘리뇨와 라니냐는 2~7년 주기로 발생하고 보통 지속시간은 9개월~2년 정도의 시간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