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고전문학소설 운수좋은날은 배드엔딩인 이유가 있을까요?

고전문학소설 운수좋은날은 배드엔딩인 이유가 있을까요? 아무리 남편이 나빳어도 그래도 그날 하루만큼은 부인을 위해 정성을 다햇는데 왜 굳이 부인을 죽인걸까요? 남편입장에선 슬프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소설가가 작품내용을 전개하는 것에 대해 독자들리 아쉬움을 가질 수는 있지만 소설가가 소설의 주제를 드러내기 위한 결말이므로 해석이 중요할 것입니다. 김첨지와 그의 가족의 삶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일제강점기를 살아가던 우리 백성들 중 도시의 빈밈계층의 대표적 모습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하루를 일해서 겨우 생계를 유지하고 아픈 아내를 위해 약은 커녕 설렁탕 한 그릇도 사줄 수 없는 모습을 소설에서 보여줍니다. 결말이 아내의 비참한 죽음으로 끝나는 것은 하루 동안 운수가 좋았던 김첨지의 삶과 가장 대비되는 아내의 죽음을 통해 소설가가 전달하고 싶었던 하층민의 비참한 현실을 더 잘 드러낼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당시 시대 배경(일제강점기) 에서

    한국인, 그것도 가난한 한국인은

    그정도의 당연한 행복조차 누릴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제목과 같은 작가는 주인공이 인력거 손님이 많아 돈을 많이 벌게되는 행운이 되는 시점에도 슬픈 운명이 교차 할수 있다라는 점을 들어 삶의 무상함과 독자로 하여금 깊이 고민 하게 만들려고 이렇게 sad ending 을 설정 하게 된 것 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