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대비 원화 상승시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이란의 이스라엘 폭격으로 달러대비 원화가 1400원대까지 치솟을거라고 합니다.
정부는 1300원대를 방어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하는데 원화가 1400원대로 상승하면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 대비 원화의 가치가 크게 상승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수출 경쟁력 약화: 원화 가치 상승은 한국 제품의 가격을 외국 구매자에게 상대적으로 비싸게 만듭니다. 이는 수출 기업들의 경쟁력을 떨어뜨려 수출 부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수입 물가 상승: 원화 강세로 인해 수입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서민 생활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3. 기업 수익성 악화: 수출 기업들의 매출이 줄어들고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올라 기업 이윤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 위축과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경상수지 적자 확대: 수출 감소와 수입 증가로 인해 경상수지 적자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한국 경제의 대외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5. 디플레이션 우려: 과도한 원화 강세는 물가 하락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소비 위축과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기 침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급격한 원화 강세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동원하여 환율 안정화에 나설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출 경쟁력 유지와 물가 안정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이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등 한다면
원자재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우리나라가 상당히
어려울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서게 되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올라가면 크게 수입하는 물가가 그대로 상승하게 되어서
인플레이션을 야기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