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우유 소비가 줄어들고 있다고 하던데 그 이유는 무엇인지?
요즘 뉴스를 보다보면 경제가 어렵다는 말이 많은데요, 그 중 국산 우유 소비가 감소하고 있다는 말이 눈에 띄더라고요. 제 주변을 봐도 하루에 한 번씩 카페에 가시는 분들도 많고 거기서 라떼부터 케이크 등 디저트를 사시는 분도 많다보니 오히려 늘지 않았을까 하는데 줄었다고 하니 이해가 안되더라고요.
왜 국산 우유 소비가 줄어들고 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산 우유 소비가 줄어드는 이유는 가격 상승과 외국산 우유의 가격 경쟁력 강화, 소비자들의 건강과 식품 다양성에 대한 관심 증가 때문입니다. 또한, 저지방 또는 식물성 음료로의 선호 변화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학교나 군대에서 고정적으로 우유를 소비해주는 주체가 있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고 이를 선택할 수 있게 바뀌었습니다
이런 고정적인 소비량이 줄어들다 보니 전보다 소비량이 줄어들게 되었고 우유 대신에 마실 수 있는
대체음료가 늘면서 소비량이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젊은 사람들의 우유에 대한 필수적인 흡수를 하지 않고ㅡ, 유당불내증를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댸문입니다. 이 문제는 쉽게 고쳐지기 힘들어요.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오히려 이전보다 카페에서 디저트 류나, 라떼류는 많이 팔리더라도 이는 꼭 국산 우유의 소비 상승과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최근 우유의 원유 가격, 생산 비용이 증가하면서 국산 우유 가격이 올랐고 소비자 들은 가격에 부담을 느꼈을 것입니다.
이러한 원인이 발생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입 우유를 선택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 옵니다.
또한 요즘은 건강과 다이어트 트렌드에 따라 식물성 음료나 건강식 음료가 유행하면서, 우유를 대체하는 부분도 어느정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도움 되셨으면 좋겠으며, 설 연휴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