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

반달의 나머지 부분은 왜 안보이나요?

늦은 낮에도 달이 보이는데 달의 나머지 부분이 아예 안보이네요? 빛이 반사되어 달이 빛나는건 알고있는데 남은부분이 아예 안보이는게 신기하네옷 마치 반만있는것처럼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머지 부분이 보이지 않는 건 태양빛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빛이 반사되지 않아서 우리눈으로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달의 보이지 않는 부분은 달이 지구를 공전하며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져있는 부분입니다.

      태양빛이 완전히 가려져 검게 보이는이죠.

      초승달부터 그믐달까지 달의 모양은 달이 지구를 공전하며 태양빛의 각도, 달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 달이 보이는 이유는 달 스스로가 빛을 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달은 태양의 빛을 반사해서 빛을 내기 때문에 달에서 빛을 반사하는 부분만 보이게 됩니다.

      지구와 태양, 달의 위치에 따라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기 때문에

      달의 일부분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뜨는 시간은 항상 다른거 아시죠? 하루에 50분씩 늦게 뜨는데요 그러면서 점점 달이 커져가다가 다 차면 점점 작아집니다.

      그런데 말씀하신것은 달이 반쪽만 보이는 이유를 말씀하셨는데요.

      보이는 부분은 태양의 빛으로 볼수있는 부분인데요. 지구의 그림자가 생겨서 달을 가린건 초승달이 아니구요 월식입니다.

      태양이 비추어져 보이는 부분이 우리가 볼수 있는 부분이구요 못보는 부분이 어두워서 안보이는겁니다 (검정부분이 우리가 볼수 있는 부분)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과 달이 약 90도를 이루고있을 때 발생합니다.


      즉, 태양이 달을 비추는 부분은 밝게보이고, 달의 뒷면까지는 태양의 빛이 닿지않으므로 어두운 부분을 지구에서는 아예 보지못하는것입니다.


      단순히 태양빛이 닿지않아 그림자로 보이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는 달이 공전을 하며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서 달의 모양이 초승달, 반달 보름달 등으로 변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