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임금 하락을 해소하기 위해서 정부는 어떤 정책을 펼치나요?
근 몇 년동안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서 명목적으로 받는 임금이 같아도 살 수 있는 물건의 범위는 적어졌습니다. 이런 걸 실질임금 하락이라고 하는데, 실질임금 하락을 해소하기 위해서 정부는 어떤 정책을 펼치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실질 임금 하락을 해소하기 위해서 정부는 어떤 정책을 펼쳐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실질 임금 하락을 최소화 혹은 해소하기 위해선
결국 임금이 상승되는 방향으로 기업을 유도해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질임금 하락에 대응하는 정부의 정책으로는 물가 관리(소비자 및 생산자 물가지수 조사를 통해 과도하게 오른 품목 집중 관리 등)와 최저임금 상승 등이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질임금 하락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여러 정책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2025년에는 시급 1만30원으로 소폭 인상됐지만,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근로자 소득을 높이기 위한 인센티브 제도도 함께 논의되고 있습니다.
또한, 소득세 물가연동제 도입이 검토되고 있는데, 이는 임금이 올라 세 부담이 과중해지는 문제를 완화하려는 조치입니다. OECD 국가 중 절반 이상이 채택한 제도로, 세율과 과세 기준을 물가에 맞춰 자동 조정하는 방식입니다.
한편, 생활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유류세 인하, 할당관세, 취약계층 생계비 지원 등도 시행 중이며, 총 125조 원 규모의 민생안정 대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내수 부양과 소상공인 지원을 통해 경기 회복과 고용 확대도 도모하고 있지만, 여전히 임금 상승 속도가 물가를 따라가지 못해 실질임금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질임금 하락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높은 물가 상승률이므로, 정부는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집중합니다. 한국은행은 시중의 통화량을 조절하여 물가를 안정시킵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할 때는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고, 대출을 억제하며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켜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춥니다. 이는 실질임금 하락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 물가를 안정시켜 구매력을 회복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이 풀리지 않도록 통화량을 관리합니다. 정부가 재정 지출을 줄여 시중에 풀리는 돈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물가 상승 압력을 완화합니다. 세금 정책을 통해 소비를 조절하거나, 특정 품목에 대한 세금을 일시적으로 낮춰 물가 부담을 완화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질임금의 하락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입안 하고 있는 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방안은 여러가지 있찌만, 일단 물가 안정 정책을 계획하는 것입니다.그리고 최저임금을 인상하는 것을 통해 실질적임 임금 하락문제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임금을 올린다는 것은 물가인상에 대한 대비도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금에 대한 공제를 확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