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현상은 오히려 물고기 먹이가 많이 생기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녹조 현상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많이 생겨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고 있는데요
오히려 물고기의 먹이가 풍부해져서 좋은 현상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는 짧은 시간 동안 큰 양의 식물성 먹이를 생산하기 때문에 물고기와 같은 동물들에게 풍부한 먹이원을 제공합니다. 물고기는 녹조가 번성할 때 이 식물성 먹이를 먹음으로써 성장하고 번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녹조 현상은 물고기의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의 원인은 다름 아닌 오염물질의 유입(영양물질, 부영양화), 수온, 일사량 증가, 물 순환 정체 등 때문에 발생하게 된답니다. 이때 일부 남조류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물질을 합성하고 분해하는 대사 작용의 결과로 독소와 냄새를 발생시키곤 합니다
그리고 산소도 차단시켜 물고기가 폐사하는 원인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 현상은 식물성 플랑크톤인 조류가 과도하게 번식하여 바다의 수면에 많은 양이 모여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물의 색깔이 녹색이거나 갈색으로 변하며, 물의 투명도가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녹조 현상은 먹이 연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부 해양 생물들은 조류를 먹이로 삼는데, 조류의 대량 발생으로 인해 이러한 생물들이 풍부한 먹이원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일부 물고기나 해양 생물에게는 좋은 현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녹조 현상이 지속되면 조류의 대량 발생으로 인해 물속의 산소 농도가 감소하고, 빛을 차단하여 해양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과도한 조류의 증가로 인해 수면 하부의 생물들이 산소 부족으로 진행성 저산소 조건에 놓이게 되어 생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녹조 현상은 해양 환경에 대한 변화의 지표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부 경우에는 농업, 산업 등에서의 과도한 영양 역류로 인해 조류의 대량 번식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이는 해양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환경 보전 및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녹조 현상은 단면적으로만 보면 물고기의 먹이가 풍부해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생태계 전반적인 관점에서는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복합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는 물속에 남조류들이 이상증식으로 과다하게 밀집되어 물이 초록색으로 보이는것을
말하는데요, 남조류들 중 독성을 가진 남조류들이 증식을하면서 독성을 발산한답니다.
증식중 물속의 산소를 소비하기때문에 산소부족 + 독성 으로 수생생물들이 죽는것이죠.
또한 남조류들은 강물의 상층에 떠있는데, 밀집되었을경우 햇빛이 강 바닥까지 닿지 않아
강물 하층에 사는 수생식물들은 광합성을 할 수 없게되어 죽게된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의 원인은 다름 아닌 오염물질의 유입(영양물질, 부영양화), 수온, 일사량 증가, 물 순환 정체 등 때문에 발생하게 된답니다. 적당한 녹조는 괜찮지만 표면을 뒤덮은 녹조가 발생되면 햇빛을 차단하여 물속에 사는 식물들의 광합성을 하지 못해서 산소를 발생하지 못해서 물속에 용존 산소량이 줄어들게 되면서 동식물이 산소부족으로 폐사할 가능성이 크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현상은 인체에 크게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람에게도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가능성은 있습니다.
독소를 가진 남조류가 많은 녹색의 호수물을 마실 경우, 간에 손상이 가거나 구토, 복통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몇십 년 이상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봤을 때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일단 녹조현상이 일어나게 되면,물고기와 수중생물이 죽어 악취가 나고 그 지역의 수중 생태계가 파괴되죠
바로 수중생태계를 파괴하는 독성물질을 생산하는 녹조류가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자주 발견되는 남조류의 일종인
‘아나베나’와 ‘마이크로시스티스’ ‘지오스민’이라는 유해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오스민은 인체에는 무해하나, 물에서 냄새를 나게 하는 원인이 되는 종류이고, 생산하는 독소는 가장 심각한 문제입니다.
참조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를 먹는 동물들은 녹조 현상이 먹이가 풍부해지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플랑크톤이 지나치게 번성하면 해수면에 층을 이루어 빛과 산소의 투과를 막을 수 있으며, 이는 해양 생물들에게 해로울 수 있습니다. 특히 과도한 플랑크톤 번성으로 인해 산소 부족이 발생하여 해양 생물들이 진행되는 호흡과 생존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고기의 먹이이기도 한 녹조가 너무많이생겨 녹조 자체가 소모하는 산소량도 있기때문에 물속 용존산소량이 줄어들고, 태양빛을가려 물고기가 살기 어려워집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는 계속해서 발생해왔지만, 유달리 이번 여름에 심한 이유는 바로 폭염 때문이다. 사실 적조와 녹조는 모두 기온의 상승과 연관이 깊다. 물의 표면에 녹조가 덮히면서 수중으로 들어가는 햇빛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용존산소가 추가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물의 용존산소량이 줄어들게 된다.
다시 말해, 기온이 올라가면서 수온이 25도 이상을 유지하게 되고 일조량이 많아지면서 수중으로 영양분이 과다공급되고 이에 따라 녹조류와 플랑크톤이 활발하게 증식해서 녹조와 적조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녹조는 유속이 느린 곳에서도 자주 발생하게 된다. 최근 폭염으로 인해 물이 마르면서 유속이 느려질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둘러싼 고기압 때문에 장마가 짧아지고 비가 많이 내리지 않아 물의 양 자체가 줄어 그 피해가 더 커진 것으로 보고 있다.녹조현상은 인체에 크게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람에게도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 독소를 가진 남조류가 많은 녹색의 호수물을 마실 경우, 간에 손상이 가거나 구토, 복통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몇십 년 이상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봤을 때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일단 녹조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물고기와 수중생물이 죽어 악취가 나고 그 지역의 수중 생태계가 파괴된다. 바로 수중생태계를 파괴하는 독성물질을 생산하는 녹조류가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자주 발견되는 남조류의 일종인 ‘아나베나’와 ‘마이크로시스티스’ ‘지오스민’이라는 유해성분을 가지고 있다. 지오스민은 인체에는 무해하나, 물에서 냄새를 나게 하는 원인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