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삼불거가 무엇을 말하나요?
장희빈이야기 중에서 숙종이 인현왕후를 복위시킬때 삼불거라는 명분으로 복위시켜다고 하던데 삼불거라는 것이 무엇을 말하는 것안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불거는 가계 존속을 보장하고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혼인관계가 쉽게 깨지는 것을 예방하고자 한 제도적 규범입니다.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시부모를 위해 삼년상을 치른 경우, 혼인 당시 가난하고 천한 지위에 있었으나 후에 부귀를 얻은 경우, 이혼한 뒤에 돌아갈 만한 친정이 없는 경우는 도의상 그런 아내를 버려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불거는
-시부모를 위해 삼년상을 치른 경우,
-혼인 당시 가난하고 천한 지위에 있었으나 후에 부귀를 얻은 경우
-이혼한 뒤에 돌아갈 만한 친정이 없는 경우는 도의상 그런 아내를 버려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칠거지악과 삼불거제도가 있었는데 칠거지악은 여인이 7가지 악행을 저지르면 내쫓을 수 있다는 것인 반면 삼불거는 비록 칠거지악에 해당하더라도 내쫓지 못하는 3가지를 말합니다. 첫째는 시부모를 위해 3년상을 같이 치른 경우 둘째는 혼인 당시 가난하고 천한 지위에 있었으나 후에 부귀를 얻은 경우 셋째는 이혼한 뒤에 돌아갈 친정이 없는 겨우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불거란 ① 시부모를 위해 삼년상을 치른
경우, ② 혼인 당시 가난하고 천한 지위에
있었으나 후에 부귀를 얻은 경우,
③ 이혼한 뒤에 돌아갈 만한 친정이 없는
경우는 도의상 그런 아내를 버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