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를 보았을때 정배열 궁금합니다
차트를 봤을때 맨위에서부터 아래그림처럼
'맨위가 5일선 두번째가 20일선
세번째가 60일선 맨아래가 120일선
이렇게배열된되었을때 정배열이다' 이렇게 이해한게 맞나요? 틀리다면 설명 부탁드리고
왜 정배열 종목이 투자 매력적인건가요?

5 20 60 120 240일선 우상향일떄 정배열입니다..240일선도 꼭 추가하세요 중요한선입니다.
주식차트는 지지와 저항으로 만들어집니다.
주식이정배열인상태서 하락하다가 5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 240일선에 지지받고 다시우상향하는경우를 볼수있습니다.
예를들어 20일선에 지지받고 상승하면 20일선이 강력한지지가됩니다..
하지만 20일선을이탈하고 다시 우상향할때 20일선에 저항받고 하락하면서 강력한 저항이 됩니다.
결론은 이동평균선은 강력한 지지와 저항역할을 합니다..
저항받고 떨어지는선을 장대양봉으로 강력돌파하고 지지할떄 매수타점이 되는겁니다.
정배열은 경건한참밀드리님이 이해하신게 맞습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평선)이 장기 이평선 위에 있을 때 정배열이라고 합니다.
보통 차트를 볼때 일봉 기준으로 5일선, 10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 240일선을 많이 보는데 숫자가 작은 이평선일수록 위에 있으면 정배열입니다.
5일선, 10일선, 20일선 단기 이평선은 금새 추세를 바꿀 수 있지만 60일선, 120일선, 240일선은 추세를 바로 바꾸기 힘들죠. 그래서 정배열 차트는 많은 시간이 지나고 형성한 차트이므로 꾸준히 상승 추세였구나 하고 판단할 수 있어요.
(참고로 5일선은 5일의 주가 평균, 240일선은 240일의 주가 평균을 선으로 그은거라 보시면 이해하기 쉬워요)
정배열 차트의 종목은 보통 우상향(주가가 오르는 형태)하는 종목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에 있는 종목을 뜻하는거죠!
아무래도 현재 주가가 오르고 있다면 그 기업이 더 발전하고 전망이 좋다고 판단할 수가 있지요.
정배열이라고 꼭 수익을 낼 수 있는건 아닙니다. 차트를 크게 봤을때 정배열 차트 종목이 대체로 좋은 분위기임을 알려주는 것일 뿐 투자 전략은 종목에 따라 그때 그때 세워야하죠!
아무쪼록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성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