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백신맞고 코르나 걸렷을때와 안맞고 걸렷을때 차이는??

알려주세요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어쪄야할가요 백신을 맞자야할까 말까 걱정입니다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요즘 코르나 때문에 걱정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명훈 의사
      김명훈 의사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 접종을 완료하더라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돌파 감염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모든 경우에 있어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증상이 없는 무증상 감염도 발생할수 있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연구 중입니다. 백신들은 분명 효과가 있으나, 항상 100% 질환을 예방하는 백신은 없습니다. 어느 백신이든 돌파 감염 사례는 있습니다. 하지만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미접종자들보다 감염시 입원율 또는 사망률이 훨씬 낮습니다. 또한 변이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득이겠습니다. 단, 2차 접종을 완료하더라도 코로나 감염은 계속 주의해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접종을 하게 되면 코로나 감염 가능성이 매우 감소 합니다.

      대략 모더나백신의 경우 94%의 항체 형성율을 보이며, 델타 변이에도 60~70%정도 저항력을 보입니다.

      때문에 접종 하였을 때 하지 않을 때 보다 10~20%내외로 감염 가능성이 낮아 집니다.

      또한 중증도도 감소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맞을 경우에는 중증으로 갈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맞으면 항체가 생겨서 코로나에 대항할 수 있는 힘을 생성할 수 있고

      코로나 예방과 더불어 생존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을 접종하는것은 감염이 안되기 위해서라기 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을시에 중증도로 진행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접종을 하는것이에요.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부작용은 대부분 중증도로 진행이 되었을때 발생합니다.

      백신접종을 했을경우에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중증도로 진행되는 경우는 없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의 접종은 개인의 선택입니다.

      질병관리청의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

      예방접종은 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면역력을 길러 감염을 예방합니다.

      예방접종을 통해 개인은 코로나19 감염 또는 중증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 인구 중 일정 수준 이상이 접종할 경우 집단면역을 형성하여 대규모 집단유행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는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보통 바이러스 감염은 단기간에 끝나지 않으며 전파력 및 돌연변이로 인하여 다른 질병에 비해 오랜기간 지속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많은 나라에서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노바백스, 얀센 등의 다양한 백신을 접종하고 있으나 조기 임상 단계를 거쳐 나온 약들인 만큼 부작용 및 후유증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안정성에 취약합니다.

      백신 효과는 현재로서는 접종 이후 항체 생성률은 60%정도 되며 지속시간은 평균 5개월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직까지 혈전이슈 이외에는 특별한 증상은 없지만 조기 임상 단계를 거친 만큼 추후에 어떠한 부작용 및 후유증이 나타날지는 아무도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백신 접종시에는 본인의 판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 맞는 걸 추천 드립니다 코로나를 예방하는뿐 아니라 코로나가 걸렸어도 중증으로 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특별한 이유가 아니시라면 코로나백신 맞으시는게 더 좋으실 겁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의 중증 부작용이 많이 보도되지만 확률이 극히 낮습니다. 백신을 맞아도 감염되는 사례도 많지만 인구의 60% 이상 맞을 경우 집단면역이 형성되어 지역사회에서 바이러스 감염이 점차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백신을 맞으면 감염이 되더라도 중증도가 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백신 맞는 것은 결국 본인 자유이지만 득실을 따져보면 득이 더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승인된 코로나19 예방백신은 모두 안전하고 코로나19에 대해 효과적입니다.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할 수도 있고(델타 바이러스 등 변종 바이러스 때문에 기대보다는 낮지만)

      감염되었다 하더라도 중증 질환자로 이어지지 않게하며 사망율을 유의미하게 낮춰줍니다.

      또한 백신 부작용으로 사망한 사람보다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이 더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백신에 맞게되면 일단 코로나에 노출되더라도 걸릴확률이 많이 낮아집니다.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이 된 경우도 증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이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성모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을 맞고 코로나에 걸린다면 상대적으로 경미한 증상으로 넘어가거나 무증상으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다면 사람에 따라 틀리지만 상대적으로 백신 접종자에 비해 더 힘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백신 안맞고 코로나에 걸리면 후유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고 치료기간이 깁니다. 경미한 경우 빨리 치료되나 간혹 중등 혹은 중증으로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후유증으론 대표적으로 호흡곤란, 폐의 염증, 폐세포괴사 등이 있습니다.

      2. 백신 접종 후 코로나 걸리면 이러한 후유증 발생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치료기간 또한 짧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을 맞으면 중화항체가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경미한 증상만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영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효과가 화이자는 87%, 아스트라제네카는 60% 수준으로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에서는 화이자도 60% 수준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기존 바이러스 유형에 맞춰서 개발된 백신이므로 변이바이러스에는 취약한 것이 사실입니다.

    • 코로나 접종으로 인해 항체형성이 70%이상이 된다고 해도 변이 바이러스의 가능성 때문에 마스크 착용은 지속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예방접종을 하는 이유는 코로나 백신접종 후 감염될 경우 사망률을 매우 극적으로 낮추기 때문입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최근 미국에서 백신 접종을 마친 1억6,400만 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코로나19에 따른 사망률은 0.001% 미만(1,507명)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백신 접종 이후 심각한 질병 등으로 입원한 비율도 0.005% 미만(7,101명)에 그쳤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81015130000194

      위의 기사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2251

      신이 만약 확진되더라도 증상을 약화시킨다고 봤다. 실제로 코로나19 확진자 중 백신 미접종자는 평균 16.7일 동안 코로나19 관련 증상을 겪은 반면 접종자는 10.3일로 6.4일 더 짧았다. 입원 치료를 받은 기간도 접종자가 평균 1.5일로 미접종자보다 2.3일 짧았다.

      코로나19로 인해 38도 이상 발열 증상을 겪을 확률도 백신 접종자가 미접종자보다 58% 낮았다.

      또한 mRNA 백신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활성 정도를 떨어트렸다. PCR 검사 결과 백신 접종자에서 검출되는 바이러스 양이 미접종자보다 40%나 적었다. 미접종자는 확진 후 평균 2주 이상 바이러스가 검출됐지만 접종자는 그 기간이 평균 1주일로 절반 이상 줄었다.

      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

      백신 맞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백신접종후, 접종부위 부종이나 혈종, 통증, 근육통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화이자,모더나의 경우 드물지만 심근염, 심낭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4일안에 보통 증상이 나타나며, 빈맥, 호흡곤란, 흉통 등이 생긴다면 신속히 병원으로 방문하셔야 합니다. 보통 백만명당 3.5명정도 발병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8-29세 남성은 발병율이 더 높은데, 100만명당 24.3명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얀센은 혈전증, 길랭바레증후군이 생길 수 있는데, 얀센의 경우 혈전증은 100만명당 3명, 30-49세 여성의 경우 100만명당 8.8명이 생긴다고 합니다. 길랭바레증후군은 100만명당 7.8명, 50-64세 남성의 경우 15.6명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현재 돌파감염이 지속되고 있지만, 백신접종을 완료하면 중증진행을 억제할 수 있기때문에, 접종을 권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