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에 이어 수소차도 생기는데 궁금증
전기차가 많이 생긴 요즘 수소차얘기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주변에 충전소도 한군데 있고요
수소차는 정말 물만있으면 주행이 되는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소차의 에너지 원천을 나타내는 것은 '수소'입니다. 연료전지의 연료 공급원 이지요.
물은 수소를 연료전지에 제공하여 전자를 생성하고 나온 생성물입니다.
즉, 물을 넣어서 가는것이 아니라 수소를 넣어서 가고, 부산물로 물이 나옵니다.
그래서 친환경 차량으로 분류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지금 상용화된 수소차는 현대 넥소입니다.
현대 넥소의 경우 수소를 충전합니다. 수서도 가스형태를 액화해서 충전하기 때문에 LPG 충전소에 수소 충전도 설치되고있습니다.
드리고 싶은 말은, 수소를 충전한다는 것이고 공기중에 산소와 만나서 전기를 발생시키고 물이생깁니다. 발생된 전기로 모터가 돌아가는 전기차의 일종입니다.
물에다가 전기를 주면 수소와 산소가 생기는 과학실험이 있는데 반대의 방향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수소를 충전하고 공기중에 산소와 만나게해서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런 형태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소차는 수소를 연소해서 물을 얻어냅니다.
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모빌리티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수소 자동차가 물로 움직이는 것은 아닙니다.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부산물로 나오는 것이 순수한 물입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석연료에서 뽑아낸 수소 와 대기중의 산소를 반응시키면 물과 전기에너지가 만들어 집니다.
이는 매우 효율적이고, 친환경 적입니다. 배출은 물론 배기가스대신 물만 배출 됩니다.
복잡한 구조와 원리이지만 근본적인것은 수소와 산소가 만나 반응하고 이때 에너지가 방출 되는데 이를 이용 한다. 이렇게 생각 하시면 됩니다
물만 있으면 수소자동차가 구동 가능한것은 아직 무리 입니다.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만들고 이 수소를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와 물을 만들고 이때 배출된 물을 모아 다시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만들고 하는 산화,환원반응의 반복 싸이클을 이용할수 있는 기술이 있고,이장치를 자동차에 부착할수 있다면 물연료 자동차가 가능 하리라 봅니다.
아니요. 수소차는 차 자체에서 물을 분해해서 수소를 만드는 장비가 아니기에 물만있으면 주행되지 않습니다.
즉, 태양광 발전소나 원자력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이용하여 수소 생산 시설에서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만들어 낸 후
이 수소를 집 주변에 충전소로 공급하면 그 저장된 수소를 주요하듯 질문자님 차량에 충전시키고 그 후 주행을 하기 때문에
질문자님이 아무리 물을 많이 가지고 있어도
수소충전소에 낼 결제 금액이 없으면 주행할 수 없습니다. 자본주의 만세
안녕하세요. 이기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소차는 물로 이동하는것이 아니라, 수소폭탄의 원료라고 볼 수 있는 수소를 가지고 베터리를 충전하여 모터로 구동하는것입니다.
수소 발전의 부산물로 물이 나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