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1

사람 눈의 화소는 어떻게 되나요?

카메라 같은 경우 그 화소를 이용하여 화질이나 그 퀄리티가 결정돼잖아요.

근데 사람의 눈은 어느정도외 화소가 어떻게 되나요? 과학적으로 증명된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24.03.31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카메라의 화질은 화소 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사람의 눈은 화소 개념으로 단순히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망막 구조:

    시신경 세포: 망막에는 막대세포와 원뿔세포 두 종류의 시신경 세포가 있습니다.

    막대세포: 막대세포는 약한 빛에서도 활동하며, 흑백 시야를 담당합니다.

    원뿔세포: 원뿔세포는 밝은 빛에서 활동하며, 색상을 구별합니다.

    황반: 망막 중앙에는 원뿔세포가 밀집된 황반이 있으며, 시력이 가장 선명합니다.

    화소 수:

    원뿔세포 수: 사람의 눈에는 약 1억 2천만 개의 원뿔세포가 있습니다.

    화소: 이를 화소 개념으로 환산하면 약 1,200만 화소에 해당합니다.

    카메라 화소 비교: 하지만 카메라의 화소와는 직접적인 비교가 어렵습니다.

    인간 시각의 특징:

    인간은 시야 중심부에 집중하는 고해상도 영역과 주변부의 저해상도 영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뇌는 시신경 세포에서 받은 정보를 복합적으로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만들어냅니다.

    인간은 카메라보다 움직임 감지 능력이 뛰어납니다.

    인간은 카메라보다 더 많은 색상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눈은 화소 개념으로 단순히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망막 구조, 시신경 세포, 정보 처리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인간 시각은 카메라와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며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