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 과학적으로 설명 가능한 건가요?

왜 요즘 음식도 담는 플레이팅을 되게 중요시 합니다. 실제 보기에 좋으면 맛있을거 같아요. 근데 같은 음식도 시각적으로 좋으면 더 맛있게 느낄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맛을결정하는 요인은 실제로 맛분자가 좌우하지만, 이밖에도 냄새분자나 시각적인 느낌, 분위기 등등에의해서도 결정됩니다.

    결국에는 주변의 자극에대한 전기신호의 복합적인 전달과 주관적인 판단 요소가 가미되기때문입니다.

    즉, 보기좋은 음식이 맛이 좋다고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같은 음식도 시각적으로 좋으면 더 맛있게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시각이 미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시각적으로 좋은 음식은 우리에게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미각을 자극하여 음식이 더 맛있게 느껴지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사람의 뇌는 착시, 착각에 잘 속습니다. 그래서 같은 맛의 음식이라도 플레이팅이 잘되거나 먹음직스러워보이면 더 맛있게 느낍니다.

  • 음식의 플레이팅은 색상, 모양, 질감, 배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음식을 아름답게 보이도록 배치하는 것입니다.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음식은 식욕을 자극하고, 식사를 더욱 즐거운 경험으로 만들어줍니다. 음식의 색감이 풍부하고 대비가 잘 되며, 재료들이 아름다운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을 때, 우리는 시각적으로 호기심을 느끼고 기대감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레이팅은 식사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재미있는 모양이나 창의적인 배치는 식사를 더욱 즐겁게 만들어주고, 음식의 특성과 조화롭게 어울리는 디자인은 식사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같은 음식도 시각적으로 좋으면 더 맛있게 느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시각적 자극이 미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음식을 볼 때, 그 음식의 색상, 모양, 질감, 크기와 같은 시각적 요소를 통해 그 음식에 대한 기대감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기대감은 음식을 먹는 동안 미각에 영향을 미쳐 음식을 더 맛있게 느끼게 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식욕을 돋우는 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빨간색이 많이 사용된 음식은 더 맛있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의 모양과 크기도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