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NaPaul
NaPaul

일본이 사용하는 진도의 기준과 한국이 사용하는 진도의 기준은 어떻게 다른가요?

지진속보를 보면 한국에서 사용하는 진도는 로마자로 I, II, III 이런 식으로 XII까지 있는데 일본은 0, 1 이런 식으로 6약 6강 7까지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NaPaul님!!! :) 좋은아침이네요!!

    우리나라와 일본의 진도 측정방식은 일본의 경우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을 사용하며, 우리나라는 수정된 메르칼리 진도 계급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로마자와 일반 숫자로 차이점을 느끼게 되는것 같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을 본다면 먼저 일본의 진도는 10단계, 한국의 진도는 12단계로 나뉩니다. 그리고 표현방식으로 일본은 숫자와 약 or 강을 사용하여 세분화, 한국은 로마 숫자와 설명을 사용하지요! 이렇게 나누어지는 이유는 일본의 진도 계급은 최신 기상청 장비와 데이터에 기반, 한국의 진도 계급은 더 전통적인 방식에 기반하기 때문이지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은 0부터 7까지의 숫자로 표현되며, 5와 6은 각각 약한(弱)과 강한(強)으로 나뉩니다. 따라서 총 10단계로 나뉩니다. 각 단계는 지진의 흔들림 정도와 그로 인한 피해를 기준으로 정의됩니다.

    진도 0: 거의 느낄 수 없음.

    진도 1: 실내에서 약간 느낄 수 있음.

    진도 2: 많은 사람들이 느낄 수 있음.

    진도 3: 실내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느낄 수 있음.

    진도 4: 많은 사람들이 놀라고, 일부 물건이 떨어짐.

    진도 5약: 무거운 가구가 움직일 수 있음.

    진도 5강: 대부분의 가구가 움직이며, 일부 벽이 갈라짐.

    진도 6약: 가구가 넘어지고, 벽이 크게 갈라짐.

    진도 6강: 건물의 구조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진도 7: 심각한 구조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수정된 메르칼리 진도 계급은 I부터 XII까지의 12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는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의 강도와 그로 인한 피해를 기준으로 정의됩니다.

    진도 I: 거의 느낄 수 없음.

    진도 II: 실내에서 소수의 사람들이 느낄 수 있음.

    진도 III: 실내에서 많은 사람들이 느낄 수 있음.

    진도 IV: 대부분의 사람들이 느낄 수 있고, 일부 물건이 움직임.

    진도 V: 거의 모든 사람들이 느끼며, 가구가 움직임.

    진도 VI: 경미한 건물 피해 발생 가능.

    진도 VII: 보통의 건물 피해 발생.

    진도 VIII: 상당한 건물 피해 발생.

    진도 IX: 심각한 건물 피해 발생 가능.

    진도 X: 많은 건물이 파괴됨.

    진도 XI: 거의 모든 건물이 파괴됨.

    진도 XII: 완전한 파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