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청렴한딱따구리280
청렴한딱따구리28024.01.28

성격 장애는 어떻게 검사해야 하나요?

나이
20
성별
남성

제가 찾아본 바로는 회피형 성격, 반사회적 성격 이 두개랑 겹치는 게 많아 의심돼요.


이거는 종합심리검사 받는 게 제일 정확한가요?

아니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성격 장애에 대한 정확한 확인은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해 필요한 검사를 받아보시면 알 수 있겠습니다. 심리검사는 질환을 진단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진료를 대신할수는 없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반사회적 인격장애는 정신건강의학과 상담후 인터뷰와 다양한 검사 및 사정 도구를 통해 진단합니다. 15세 이후부터 다른 사람의 권리를 지속적으로 무시하는 현상이 18세 이상까지 이어지는 경우 진단할 수 있습니다.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인격장애의 한 유형으로, 개인이나 사회에 대한 태도와 행동이 일반적인 사람들과 다른 특징을 보이는 심리적 장애입니다. 이로 인해 사회 규범을 준수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상태를 정신병질자 또는 사회병질자로 불렀습니다.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원인은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선천적 요인으로는 충동성과 감각 추구성이 높아서 자제력이 부족한 경향이 있으며, 세로토닌과 관련된 중추 해마 체계의 이상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감정 조절 능력이 낮아 위험한 행동을 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어린 시절의 부적절한 교육이나 품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경험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회 규범을 제대로 습득하지 못하거나 사회적으로 적응하지 못한 경우에 이러한 인격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주요 증상은 청소년기 이후에 나타나며, 학교나 가정에서의 문제 행동, 무단 결석, 거짓말, 품행 장애 등이 포함됩니다. 성장하면 범법 행위, 성적인 문란, 채무 불이행 등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개인은 겉으로는 합리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신의가 없는 행동을 일삼고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부족합니다. 또한,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냉정한 모습을 보이며, 범죄 행위를 저질러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주로 고도로 관리가 필요한 상태로, 전문적인 치료와 관리가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