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바닷 물고기 청어관련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바닷물고기 청어는 청각이 발달하여 청어라고 한다고 지인분께서 그러던데요. 물고기인데 어떻게 청각이 발달할수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먼저 지인께서 말씀하신 청어의 유래가 청각이 발달해서 붙여진 이름은 아닙니다.

    청어의 이름은 물고기의 몸 색깔이 푸른빛을 띠기 때문에 '푸를 청'자를 써서 청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하지만, 꼭 청어가 아니더라도 실제로 많은 물고기들이 생각보다 뛰어난 청각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고기는 사람처럼 바깥귀인 외이나 가운데귀인 중이는 없지만, 머리 안에 내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내이에는 소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이석이라는 작은 탄산칼슘 결정과 감각모 세포가 있습니다. 물 속에서 소리 진동이 발생하면 이 진동이 물고기의 몸을 통해 내이의 이석으로 전달되고, 이석이 움직이면서 감각모 세포를 자극하여 소리를 인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 많은 물고기들은 부레를 가지고 있는데, 이 부레는 단순히 부력을 조절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소리 감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레는 속이 공기로 채워져 있어 소리 진동에 쉽게 공명하고, 이렇게 공명된 진동은 부레 주변의 신경을 자극하거나, 부레와 내이 사이에 연결된 특수한 구조를 통해 내이로 전달되어 소리 감도를 증폭시킵니다. 청어 역시 부레와 내이가 연결되어 있어 소리 감지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물고기는 몸통 옆에 측선이라는 감각 기관을 가지고 있는데, 측선은 물의 흐름이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역할을 주로 하지만, 저주파수 소리 진동을 감지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청어라는 이름은 '푸른 물고기'를 뜻해 청각과는 관련이 없지만, 실제로 청어는 부레와 내이(귀)를 연결하는 특수한 구조 덕분에 소리 감지 능력이 발달해 물속에서 소리를 잘 듣고, 공기방울을 이용해 의사소통을 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청어는 공기주머니와 청각기관이 연결돼 소리 감지에 민감해요

    그래서 청어란 이름이 붙었대요

    1명 평가
  • 청어의 이름은 몸의 색깔이 푸른색을 띠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며, 청각 발달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물고기도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부레를 통해 소리의 진동을 감지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