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반딧불이
반딧불이23.07.24

화성에도 중력이 있나요? 지구랑 비슷한 정도의 중력일까요.

앞으로 인류가 화성에서 산다고 하는데 그것은 지구와 중력이 비슷해서 일지 궁금해서 글 남겨봅니다. 만약 지구랑 비슷하다면 물과 산소만 주어진다면 지구에서 사는 곳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 행성중 지구 다음의 열에 있는 행성으로 지구와 가장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크기는 지구의 절반 수준으로 주로 암석과 금속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화성표면은 대규모 화산,크레이터,계곡등이 발견되었고, 고대 지질 활동이 활발 했던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대기는 지구와 달리 아주 얇고 희미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주로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표면은 차가운 환경이지만 대기층은 태양빛을 대기가 가둬서 지구보다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네요

    다만..현재 화성 표면을 연구한 결과 물의 흔적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강이나 호수,바다와 같은 물 특성을 찾을 수는 없다고 합니다.

    현재 기술과 화성 연구 자료만으로는 사람이 살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향후 기술 발전과 지구와의 유사성을 더 발견한다면

    미래의 제2 지구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화성에도 중력이 있습니다. 화성의 질량은 지구의 약 11%이지만, 지구의 반지름에 비해서는 작기 때문에 화성의 표면 중력은 지구의 약 38% 정도입니다. 즉, 화성에 서 있는 사람은 지구에 있는 경우보다 약 2.5배 정도 적은 중력을 느낄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화성 탐사선이 화성에 접근할 때 착륙이나 이착륙이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의 중력은 지구의 약 38%입니다. 즉, 화성에서 지구와 같은 체중을 지니고 있다면 몸의 무게가 약 38%로 줄어듭니다. 이것은 화성에서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화성의 환경은 지구의 환경과 매우 다릅니다. 화성의 기온은 매우 낮고, 대기압은 매우 낮습니다. 또한 화성에는 자외선이 지구보다 많습니다. 따라서 화성에서 사는 사람들은 화성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많은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