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끝없는 품목별 관세 과연 제대로 된 대처가 있을까요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에 이어
반도체 그리고 각 의약품 등으로 이어지는 끝없는 관세 정책은
단순히 돈을 처 바른다고 해서 될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과연 그의 움직임을 멈출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미국도 재정적자가 문제이긴 하지만
과연 앞으로 어디로 향해 가고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식 품목별 관세는 협상 카드 성격이 강합니다. 자동차나 반도체, 의약품까지 줄줄이 언급하는 건 단순히 산업 보호라기보다는 상대국 압박을 통한 정치적 효과를 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이런 방식이 기업 입장에선 예측 불가능성을 키운다는 점입니다. 돈으로 보조금을 퍼붓는다고 해결되지 않고 결국 공급망 재편이나 생산기지 이동 같은 장기 전략이 필요해집니다. 미국도 재정적자 때문에 관세 수입을 단기적 재원으로 삼고 있지만 이게 지속 가능한 해법은 아니라는 점은 내부에서도 지적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미국의 경제 위기가 한번은 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혹은 미국이 아니라 EU라도 이러한 위기가 발생할듯 합니다. 현재 관세란 몇십년간 사라진 유물같은 존재이기에 이에 대하여 국가들이 대응을 어려워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실물경제가 어렵기에 금리인하와 인플레이션 사이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품목별관세는 트럼프 1기시절 그에 대한 적법적을 인정받은 바 있어 IEEPA에 따른 상호관세보다는 더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지속적으로 관세를 추가하고 있어 전세계 각국들이 긴장하고 있는 상황이며, 추가 협상이 필요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실제 관세 부과여부나 관세율, 그리고 우리나라의 영향사항 등을 체크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