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박일규
박일규22.11.06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은대 큰 문제인가요??

나이
32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혈압약 불안장애로인한정신과약
기저질환
고혈압 고혈압성신부전

고혈압 때문에 순환기내과 진료를 10년정도 봤습니다. 그 동안은 아무 신경 안 썻는대 오늘병원 어플설치하니 지난번 피검사결과가 있더라구여 그런대 크레아티닌?? 수치가 점점 상승하는게 보입니다. 10년전 초진시 단백뇨2+였고 크레아티닌은 0.9~1.1점대 10년가까이 유지했는대 최근 검사결과 1.29입니다. 단백뇨는 음성입니다만 좀 걱정이네요 ㅠㅠ 30대 초반남성으로서 크레아티닌 1.29 mord 64로 나오는대..... 보통 제 또래사람들은 90프로 이상 나와야 한다고 인터넷에서 그러는대 이거 심각한 문제인가요????? 대학병원 순환기내과 선생님이 아무 말슴을 왜 안하셨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

    우선 고혈압성 신부전을 진단받은 상태인가요? 사실 그렇다면 크레아티닌 증가와 eGFR 감소는 해당 질환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크레아티닌 정상범위는 의료기관마다 조금씩 다르나 1.29가 정상에 속하는 병원도 있기는 하며 심한 신부전을 의심할 정도는 아니긴 합니다. 그리고 수치는 매번 검사 때마다 조금씩 변할 수 있고요. eGFR의 정상범위는 90 이라고는 하나 신기능의 감소는 대개 60 미만에서 의미있다고 보기는 하며 추적관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나이대에 비해서는 수치가 조금 높은 것이 걱정이라면 신장내과를 내원하시어 혹시 결과에 영향을 미칠만한 악화인자 등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크레아티닌 수치는 우리 소위 이야기 하는 신장 수치로, 해당 수치가 높을수록 신장 기능이 좋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1.29라면 당장 심각한 것은 아니지만 점차 늘어나는 양상이라면 잘 관리하면서 경과를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걱정되신다면 신장내과에 다니시며 관리하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그만큼 신장기능이 좋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수치가 상승할수록 만성신부전 단계가 올라갑니다.


  •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크레아티닌 자체만으로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다른 혈액검사나 사구체여과율등 종합적으로 판단할 부분입니다


    1.29 정도의 수치는 대부분의 경우 크게 문제가 될 부분은 아니고 전날 체내수분량, 섭식, 운동여부에 의해서도 높아질수 있는 부분이니 당분간 수분섭취를 늘려 주시고 나머지 건강 검진 기록도 같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보다 자세한 것은 검사를 받으신 병원에서 상담을 받으시는것이 우선은 더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고혈압이 오래 지속되면 신장속의 미세혈관인 사구체가 손상되면서 신장기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신장기능이 떨어지면 크레아틴 수치가 증가할 수 있는데 작성자분이 이 상황에 해당하는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많이 걱정할 만큼 높은 수치는 아닙니다.

    mord는 무슨 수치를 이야기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보통 사람들이 90프로 이상 넘는다고 이야기하시는거 보면 아마 사구체여과율인 GFR을 이야기 하시는듯 합니다.

    겅간한 성인은 이야기하시듯 저정도 수치가 나오는게 맞는데 작성자분은 10년 이상 고혈압이 있으셧던 분으로 GFR이 떨어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 혈압 조절을 많이 신경쓰시야겠습니다.

    아마 신장기능을 보호하지 위해서 혈압약중에 ACE-i 같은 성분이 들어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약물 이외에 지금 할 수 있는 다른 조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