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순수한삵213
순수한삵213

의무보유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11월에 빅히트나 카카오 웅진씽크빅과 같은 기업들이 의무보유가 해제된다고 하네요.

의무보유가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인거 같기는한데 잘 모르겠습니다.

의무보유에 대해서 알고싶고, 의무보유가 해제된다면 그 회사들의 주가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금쪽같은콜리230
      금쪽같은콜리230

      안녕하세요.

      주식의무보유는 신규상장시 대주주와 기관투자자의 먹튀를 방지하기 위한 조항입니다.

      주식 상장 이후 대주주나 기관투자자가 보유 물량을 시장에서 매도한다면 신규상장주식은 급락을 하게 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대주주나 기관투자자에게 의무보유기간을 보유하는 것입니다.

      의무보유기간이 지나가면 대주주나 기관투자자는 해당 지분을 매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신규상장시 많은 기업이 실적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때문에 상장 이후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신규상장주식은 과매수되어 고평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의무보유기간이 지나면 대주주나 기관투자자는 해당 주식을 매도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죠.

      따라서 해당 물량이 시장에 출회된다면 유통주식수가 증가해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이에 많은 투자자가 대주주나 기관투자자의 의무보유기간 전에 해당 주식을 매도하려고 하죠.

      공모주 투자시 의무보유 관련 사항을 확인하시고 투자하셔야 합니다.

      피같은 돈을 함부로 날리시면 안 되죠.

      그럼 항상 성공투자하세요.

      감사합니다.

    • 일반적으로 개인들은 주식을 시장에서 사지만 기관같은 경우는 블록딜과 같이 장외에서 대량으로 매수매도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시가보다 저렴한 가격에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바로 시장에 팔아도 시세차익이 생깁니다. 이럴 경우 시장에 큰 영향을 주게 되고 다른 주주들(보통은 개인투자자들)은 큰 피해를 입게됩니다.

      빅히트 같은 공모주도 마찬가지로 개인과 기관 따로 세일을 진행합니다. 공모주는 일반투자자와 기관 투자자 따로 주식 배정을 하기 때문에 물량이나 가격이나 기관 투자자가 훨씬 유리하게 주식을 배정받게 됩니다. 만약 의무보호가 없으면 이러한 주체들은 바로 주식을 팔아서 시세차익을 실현하고 과매도된 주식을 다시 매수하는 등 주가를 악질 적으로 조작할 수 도 있겠지요.

      이를 막기 위해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주식을 매수한 기관들을 대상으로 몇 개월 동안은 의무적으로 주식을 팔지못하게 법으로 막아놓은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식질문 답변가 부자아빠입니다.

      기업들이 가진 주식을 팔지 못하도록 잠궈 놓은게 바로 의무 보유 기간이죠. 기업들은 상장한 가격으로 기업의 지분을 산게 아니라 상장전에 기업의 가치가 한참 낮을 때 지분을 사놓았기 때문에 적정한 시기에 일정 부분 시세차익을 위해서 시장에 물량을 매도 할 수 도 있습니다.

      아마 이미 상장한 가격은 처음 기업의 투자한 시점 대비 몇배 이상은 올랐을 상황일 것 입니다. 대부분 처음 상장할 때 거품이 많이 끼거든요...

      그렇기에 기업의 가진 지분의 가치가 시장에 한 번에 쏟아졌을 때 주식의 가격은 엄청나게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주식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데 살려는 물량보다 팔려는 물량이 훨씬 많다면 가격은 자연스레 내려가는 것 입니다.

      도움이 많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11월에 빅히트나 카카오 웅진씽크빅과 같은 기업들이 의무보유가 해제된다고 하네요.

      의무보유가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인거 같기는한데 잘 모르겠습니다.

      의무보유에 대해서 알고싶고, 의무보유가 해제된다면 그 회사들의 주가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네 아무래도 개인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있습니다. 유통물량의 일정량을 의무적으로 보유하고 팔수없다가 후에 팔수있게 되는것인데. 의무보유가 해제되면 아무래도 차익실현을 위한 대량매도를 통해가격이 떨어질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