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치매 환자분들의 연하곤란이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치매 교육을 듣다가 연하곤란이라는 표현을 보았는대요.. 이게 무슨 뜻인지 제대로 설명해주지 않고 넘어가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무슨 뜻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연하곤란이란 음식을 씹는 전 단계 부터 저작운동 삼킴의 과정의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말합니다. 외상으로 인한 뇌출혈 뇌경색과 같은 질환의 환자들이거나 신경계 질환 환자들에게서 주로 일어나는 증상으로 연하곤란의 가장 위험한 양상은 무증상 흡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우리가 사레가 들린다고 하는데, 무증상 흡인 환자는 기도를 통한 음식이 역류했을때 사레라는 과정이 없는 것을 뜻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음식물이나 침을 삼키는 행위를 한자어로, 연하(swallow)라고 합니다. 먹는 행위나 마시는 행위를 잘 자각하지 못해 한꺼번에 많은 양의 음식물이나 음료가 유입될 경우 기도질식 등 우려가 있기 때문에 주의하라는 의미에서 언급해주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연하'는 삼키기(음식물이 구강 식도를 거쳐 위짜기 도착하는 과정)를 말하며

    연하곤란은 음식물을 삼키는것이 힘들거나 불가능 혹은 삼킨 음식이 기도로 넘어가는 증상을 말합니다.

    삼킴곤란 혹은 삼킴장애라는 말을 쓰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연하(swallowing)'란 음식물을 삼키는 것을 말하며 이는 구강, 인두, 식도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구조물들이 유기적으로 조화롭게 움직여서 이루어집니다. 이때 연하곤란이란, 삼킴장애라고도 하며 어떤 이유에서든 이러한 유기적인 움직임에 장애가 생겨서 음식물을 삼키지 못하거나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연하곤란(삼킴장애)은 삼키는 것과 관계된 조직이나 기관의 구조에는 문제가 없으나 삼키는 동작과 관련된 움직임이 나쁘기 때문에 일어나는 기능적 장애(동적 장애)와 구조 자체에 이상이 있는 기질적 장애(정적 장애)가 있습니다. 연하곤란의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면서 사래가 들리거나 기침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연하곤란은 음식물이나 액체를 삼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 증상을 말합니다. 치매 환자의 경우 뇌 기능 저하로 인해 삼키는 과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떨어져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질식, 흡인성 폐렴 등의 위험을 높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적절한 식사 방법과 음식 조절이 중요합니다.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시면 말씀해 주세요.

  • 치매 교육에서 연하곤란이란, 치매와 같은 노인성 질환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로, 치매로 인해 발생하는 인지기능 저하로 인해 연령과는 상관없이 특정 활동이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어려움은 노인을 돕는 보호자나 장애인 복지 서비스 제공자 등이 주의해야 할 문제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

    연하곤란이란 음식물 섭취시 음식이 입에서 위장으로 넘어가는 과정에 문제가 있는것을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연하란 음식을 씹어서 먹는 행위를 말합니다. 연하곤란은 음식 섭취가 어려운 상태를 말하며, 이는 치매 환자에서 잘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백찬양 전문가입니다.

    연하곤란이란 삼킨 음식물이 자연스럽게 위장에 도달하지 못하고 음식물이 느껴진다거나 식도에서 음식물이 내려가지 못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전문가입니다.

    연하곤란이라는 의미 자체는 식이 자체가 적절히 구강 식도 위를 통해 들어가는 것이 아닌, 자주 사레 걸리는 양상등을 통해, 기도로 들어가 흡인성 폐렴이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