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반사 언제까지 남아있나요?
4개월 아기인데 모로반사가 아직 남아있는 것 같아요ㅜㅜ
잘 자다가 손으로 눈 부비적거리고 다리도 몸 쪽으로 끌어당기다가 깨곤해요
스트랩 다시 해줘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로반사는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나타나는 반사반응이며 생후3개월부터는 서서히 사라진다고 합니다.
4~5개월 아이에게서는 대부분 관찰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모로 반사(moro reflex)는 큰 소리나 신체 위치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신생아 반사이다. 예를 들어 머리를 지지하면서 한 손으로 아기를 들고 있다가 갑자기 팔을 낮추게 되면 아기는 팔을 바깥쪽으로 벌렸다가 안쪽으로 가져가는 행동을 보인다. 이때 보통 등은 휘고 손은 약간 구부정하게 바뀌고, 무릎은 배 쪽으로 접히게 된다. 이러한 반사 행동이 모로 반사인데 그 모습이 마치 아기가 앞에 있는 인물을 껴안으려고 하는 것 같다고 하여 껴안기 반사(embracing reflex)라 부르기도 하며, 아기가 놀라는 반응이라고 하여 놀람 반사(startle reflex)라 하기도 한다(Snow & McGaha, 2003). 모로 반사라는 이름은 이 반사를 발견한 오스트리아 소아학자 언스트 모로(Ernst Moro; 1874-1951)의 이름을 딴 것이다.
모로 반사가 사라지는 것은 뇌의 고등기능의 성숙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알려졌다(Prechtl, 1977). 모로 반사는 신생아의 신경결함을 알아보기 위한 신생아 검사에서 가장 많이 관찰하는 행동 중의 하나이다(Bench, Collyer, Langford, & Toms, 1972). 예를 들어 신생아에게 모로 반사가 결여되어 있다면 신경계 손상이나 팔의 마비 증상으로 해석되기도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신생아 반사 [neonatal reflex]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0~3개월까지 나타나며 4개월이후부터 서서히 줄어들다가 6개월 이후부터 완전히 없어집니다
4개월 까지는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로반사는 생후 3개월 까지 가장 많이 발생하며, 4개월 이후부터 점차 사라지기 시작해서 6개월 정도엔 거의 없어진답니다.
태어난 지 얼마 안된 신생아는 갑작스럽게 움찔하고 놀라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엄마 뱃속의 양수에서 헤엄쳤던 아가가 밖으로 나오게 되면서 양수 안과 다른 부력이 없는 환경에 허우적 거리며 놀라는 경우를 모로반사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의 반사운동 중의 하나로서 누워 있는 위에서 바람이 불거나,
큰소리가 나거나, 머리나 몸의 위치가 갑자기 변하게 될 때 아기가 팔
과 발을 벌리고 손가락을 밖으로 펼쳤다가 무엇을 껴안듯이 다시 몸쪽으로
팔과 다리를 움추리는 것을 말합니다. 모로반사와 같은 신생아의 반사운동은 출생 후
3개월 정도가 되면서부터 자연히 없어진다고 합니다. 참고로 아이마다 차이가 있어 조금 더
늦게 없어지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로반사는 100일 이후 부터 서서히 없어집니다.
즉, 생후 0~3개월 경에 많이 나타나며 4개월 이후부터 조금씩 사라지다가 6개월쯤에는 완전히 소실 됩니다.
바로 없어지는 것은 아입니다. 아이들마다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개인차는 있습니다.
아기가 모로반사로 인해 잠에서 깨어 울 때는 안심 할 수 있도록 몸에 밀착시키고 등을 쓰다듬어 안정 시켜주세요. 그리고 빛이나 소리 등 아기에게 자극이 될 만한 요소가 없는지 살펴보아야 하며 아기가 자는 방의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생후 4개월 정도가 되면 사라지게 되고 길게는 6개월 정도까지 이어지기도 합니다.
모로반사가 사라질 때 까지 속싸개나 스트랩등을 계속 이용하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로반사는 100일이 지나면 점차적으로 줄어들수있습니다.
현재 4개월쯤되었다면 굳이 해주지않아도 무관할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