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활발한당나귀134
활발한당나귀13423.03.13

미국 중견은행의 파산으로 물가 상승은 계속될가요?

미국의 실버게이트, 실리콘 밸리 뱅크등의 중견 은행의 파산 원인 중 하나가 가파른 금리인상이어서, 금리 인상은 당분간 중단될가요?

그렇다면 물가 상승은 계속될 가능성이 있겠네요.

미연준은 이런 딜레마에 어떤식으로 대처해나갈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16위 상업은행의 파산으로 인해서 경기침체 시그널이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지난주 금요일 실업률이 3.6%로 예측치인 3.4%에 비해 높게 나오면서 경기침체 현상에 대한 압박을 더욱 강하게 주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경기침체의 압박은 연준으로 하여금 금리인상의 속도를 늦출 수 밖에 없도록 만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0.25%의 금리인상에 대해서 90% 금리동결을 10%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금리인상의 조절은 경제에는 어느정도 활기를 줄 수 있으나 질문자님께서 말씀주신대로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금리인상의 속도를 늦추게 되는 경우 향후 더 극심한 인플레이션 고통에 시달릴 수 있어서 아무래도 연준의 고심이 깊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렇기에 연준으로서도 할말이 있어야 하니 내일 3월 14일 CPI값에 예측치보다 높게 나온다면 연준은 경기침체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0.5%의 금리인상을 할 명분이 서겠지만 반대로 인플레이션이 6%이하값이 나온다면 금리동결까지도 검토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럼 당분간 우리는 고금리와 고인플레이션 상황속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만

    현재 물가가 어느정도 잡히고 있기는 합니다.

    은행들이 파산하긴 하였지만 이에 대한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이미 충분히 기준금리는 고금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물가가 추가로 인상될 가능성은 적습니다.

    • 물가를 공격적으로 잡기위해 금리를 더올렸다가 추가적인 뱅크런이 발생하면 미국의 연착륙 목적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금리를 동결하거나 베이비스텝으로 5%를 맞출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