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송팔대가란 누구를 말하며 누가 이렇게 부르기 시작했나요?
당송팔대가란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의 유명한 문장가 8명을 부르는 말로 알고 있습니다. 당송팔대가란 누구이며 누가 언제부터 이렇게 부르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당송팔대가는 중국 당나라와 송나라의 뛰어난 문장가 여덟 명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중국 당나라의 한유, 유종원
중국 송나라의 구양수, 소순, 소식, 소철, 증공, 왕안석 이렇게 8명입니다
당송팔대가라는 병칭은 송나라의 진서산이 처음으로 주창하였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당송팔대가는
중국 당나라의 한유(韓愈)·유종원(柳宗元), 송나라의 구양수(歐陽修)
·소순(蘇洵)·소식(蘇軾)·소철(蘇轍)·증공(曾鞏)·왕안석(王安石) 등
8명의 산문작가의 총칭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당송팔대가는 중국 당나라와 송나라의 뛰어난 문장가 여덟 명을 가리키는
말이다. 당송팔대가는 다음과 같다.
당나라 한유 유종원 송나라 구양수
소순 소동파 소철 증공 왕안석 여덟 사람 중, 소순·소동파·소철은 부자형제
사이이며, 묶어서 삼소라 부른다.
-출처: 위키백과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송팔대가는 중국 당나라의 한유, 유종원, 송나라의 구양수, 소순, 소식, 소철, 증공, 왕안석 등 8명의 산문작가를 총칭합니다.
당송팔대가라는 병칭은 송나라의 진서산이 처음으로 주창하고 뒤이어 당순지가 당나라, 송나라의 우수한 작가를 이 8명으로 묶어 산문선집 문편에 수록하였으며 다시 명나라의 모곤이 당송팔대가문초에 편집하여 보급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당송팔대(唐宋八大家)는 대략 9세기 후반부터 13세기 전반까지 중국 문학계를 이끌었던 여덟 명의 문인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 여덟 명은 각각 당(唐)과 송(宋) 시대에 활동했으며, 대표적인 문학가였습니다.
이 여덟 명의 작가들은 자신들의 문학적 성향과 사조를 대표했기 때문에, 그들을 일컫는 별칭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의 이름과 별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방(李邦) - 태백산문(太白山文)
루희처(陸羽處) - 차선사문(茶仙寺門)
한용운(韓愈運) - 인물도문(人物圖文)
량지(梁知) - 구운몽(九雲夢)
이규보(李圭甫) - 풍류곡(風流曲)
손상(孫詳) - 무역도문(牧鵠圖文)
장지(張輯) - 구운자전(九雲子傳)
오유(吳柳) - 별박산문(別博山門)
이들 중에서 가장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작가는 장지(張輯)입니다. 그는 당시 가장 많은 독자층을 확보했으며, 대표작인 《구운자전》은 후세에도 큰 인기를 끌며 지금까지 수 많은 인용과 패러디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자료에 따르면 당송팔가문에 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송팔가문'은 당나라와 송나라의 이름난 문장가 8인의 글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는 명나라 모곤(茅坤)이 산정한 『당송팔가문초(唐宋八家文抄)』를 가리킨다. 그리고 청나라 심덕잠(沈德潛)이 찬한 『팔가문독본(八家文讀本)』도 크게는 이에 속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당송팔자백선(唐宋八子百選)』의 대칭으로 쓰인다.
이 책에는 당나라 사람의 것으로 한유(韓愈)의 글이 30편, 유종원(柳宗元)의 글이 15편, 송나라 사람의 것으로 구양수(歐陽脩)의 글이 15편, 소순(蘇洵)의 글이 5편, 소식(蘇軾)의 글이 20편, 소철(蘇轍)의 글이 5편, 증공(曾鞏)의 글이 3편, 왕안석(王安石)의 글이 7편 수록되어 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송팔대(唐宋八大家)는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의 문학가 8명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 8명은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이방자(李邦彦) - 당나라 문장가
두풍(杜風) - 당나라 문장가
위안(韋莊) - 당나라 문장가
루서(魯迅) - 중국 근대문학의 대표적인 작가
손자호(蘇軾) - 송나라 문학가
이황(李白) - 탕시(唐詩) 시인 중 한 사람
덕춘(杜甫) - 탕시(唐詩) 시인 중 한 사람
황진이(黃巾李陵) - 송나라 문장가
당송팔대가라는 말은,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 문학의 전성기를 이룬 8명의 저명한 문학가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러한 말은 16세기 중국의 서경을 강의하는 대학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그 이후로 중국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