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저축은행 지금 넣어놔도 괜찮을까요?
요즘 은행중에 OK저축은행은 2금융으로 괜찮은지 궁금하네요 1금융보다는 아무래도 믿을만하지 못하니까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OK저축은행은 저축은행중에 BIS비율이 좋은편에 속하기 때문에 자금을 넣어도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규모면으로 상위 3위안에 속하는 만큼 자본도 충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과거 저축은행 사태와 다르게
PF대출에 대한 충당금도 많은 부분 쌓아 놓은 것도 보험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저축은행과 같은 경우에도
예금자보호법에 따라서 5천만원까지는 보장이 되기 때문에
5천만원 이내에서는 예적금을 하셔도 문제는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2금융권이라고 해도 예금자 보호가 되는 한도 금액 내에서는 넣어놔도 괜찮다고 봅니다.
문제가 생겨도 5천만원까지는 보호가 되니 위험이 생겨서 돈을 조금 늦게 받는 리스크 대비해서 금리등의 조건이 좋으면 이용해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OK저축은행도 올해 신용등급이 하향조정됐는데요. BBB+에서 BBB로 한단계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예적금이 불안할 정도는 아닙니다.
예금 상품에 가입하셔도 됩니다.
최근에 2금융권 저축은행 중 불안하다는 곳이 생기고 있기는 합니다.
다만 2금융권 저축은행이더라도 5천만원까지는 원리금보장이 됩니다.
ok저축은행은 상반기 흑자를 봤다고하니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상대적으로 2금융권이 1금융권보다 위험한것은 사실이지만 나라에 큰 위기가 찾아오지않는 이상 큰 문제는 없을거라 생각이 듭니다. 당분간은 돈을 예치하셔도 될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OK 저축은행에 대한 내용입니다.
제2금융권도 5,000만원까지는 예금자 보호가 되기에
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OK저축은행은 현재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관련 대출에서 대규모 부실 우려와 연체율 상승 등의 문제가 있어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는 저축은행 업계 전반의 불확실성과 관련된 상황으로, OK저축은행 역시 자산 건전성 악화와 대손 비용 증가로 인해 재무적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다만, OK저축은행 측은 자본력과 충당금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모기업의 지원 가능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OK저축은행에 자금을 예치할 때는 이러한 리스크를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1금융권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지만, 그만큼 리스크가 있을 수 있으니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ok저축은행에 예금을 고려할 때는 1금융권과 2금융권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금융권인 시중은행은 자본금이 크고 정부의 강력한 감독을 받으며, 예금 보호 한도가 적용되어 안정성이 높지만 금리는 낮은 편입니다. 반면, 2금융권인 저축은행은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지만, 자본금이 작고 부동산 시장 등 외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ok저축은행은 높은 금리와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1금융권에 비해 자본금이 적고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인해 저축은행 업계 전반에 대한 우려가 존재합니다. 예금을 넣을 때는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1인당 5천만 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으나, 예금액이 많다면 분산 투자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서 해당 저축은행의 건전성 정보를 확인하고, 다른 금융기관의 예금 상품과 비교하여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ok저축은해은 높은 금리를 제공하지만 그만큼 위험도 존재하므로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1금융권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만약 ok저축은행에 예금을 넣고자 한다면, 예금 보호 한도를 넘지 않도록 주의하고, 다양한 금융기관에 분산 투자하는 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최근 금융 시장의 변동서을 고려하여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투자 방법을 찾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상대적으로 위험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위험성은 언제나 도사리고 있고, 언제 어떤문제가 발생할지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