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팔팔한낙지128
팔팔한낙지12821.11.26

코로나는 공기중에서도 감염이될수있나요?

코로나 격리중인데 집에서도 마스크껴야하나요? 감염자는 방에서격리중이라 거실에서는 마스크써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19 의 감염 경로는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 말하기, 노래 등을 할 때 호흡기 침방울(비말)을 통해 바이러스 배출되어 호흡을 통해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침방울을 직접 들이마심(흡입),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침방울이 눈, 코, 입의 점막 표면에 튀어 묻음(접촉) 환경 표면에 떨어진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침방울을 손으로 만진 후 눈, 코, 입을 만짐(표면접촉)으로 전파됩니다.

    공기 전파가 가능한 상황은 감염된 사람에게 호흡기 미세 침방울(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시술을 하는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호흡기 침방울을 만드는 환경에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격리자는 환기를 자주하셔야하며 동거가족은 마스크를 반드시 안쓰셔도 되나 가능한 마스크 착용을 하시는 것이 코로나 예방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1.28

    안녕하세요. 김명중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람으로 전파되며 주로 환자와 직접 접촉 또는 호흡기를 통해 배출되는 비말에 의해 전염됩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이 말을 하거나, 기침이나 재채기, 노래 등을 할 때 생성된 비말이 근처에 있는 사람들의 호흡기에 직접 닿거나, 비말이 묻은 손 또는 물건 등을 만진 뒤 눈, 코 또는 입을 만질 때 전염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기 감염은 흔하지 않으나 의료기관의 에어로졸 생성 시술이나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호흡기 비말을 만드는 환경 등 특수상황에서 보통 비말이 도달하는 거리(2미터) 이상까지 바이러스 전파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ncov.mohw.go.kr/shBoardView.do?brdId=3&brdGubun=38&ncvContSeq=3477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공기중에서 감염되는 것 보다는 비말감염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코로나 확진으로 인한 격리라면 마스크를 쓰는 것이 서로에게 안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공간상 완전 분리를 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대부분 비말에 의한 직접감염이 주를 이루고, 공기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공기의 먼지에 바이러스가 부착하는 경우 전염될 가능성이 있으나, 이는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집에서 굳이 마스크 착용할 필요 없습니다. 사람 많은곳에서만 확실하게 착용하는게 좋습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의 주된 전파 경로는 비말 접촉이지만 공기 접촉으로 인해서도 전파가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격리 중이신 상태에서 거실에서 타인과 접촉할 우려가 있다면 마스크를 착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현재 질병관리청에서는 공기로의 감염력은 거의 없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다만 실내에서 환기가 되지 않는 상황 그리고 사람들이 많이 머무는 곳은 감염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질문자님처럼 코로나로 격리중이라면 최대한 접촉하지 않고 마스크 등으로 외부 접촉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감염은 눈에 보이지 않으니깐요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비말감염으로 전파됩니다.

    그러므로 방문이 닫혀 있다면 마스크를 낄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물리적 거리두기, 손세정은 항상 하시고 용품은 공용으로 쓰지 않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마스크 착용은 필수는 아니지만 착용한다고 해서 해가 될 것은 없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비말감염과 공기감염 둘다 가능합니다. 비말감염은 침이나 체액을 통한 감염을 의미하며 공기 감염은 공기중 에어로졸 형태로 분포해있는 바이러스가 감염을 유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말감염 예방을 위해 마스크착용을 잘 하고 실내인 경우 환기를 수시로 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공기로 감염은 거의 안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비말로 인한 감염이 가능하므로 마스크를 잘 쓰셔야 하고

    거실에서는 써주시는 것이 좋으나 완전 격리중이면 벗으셔도 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코·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되는 비말감염이 맞습니다.

    비말은 아주 작은 침방울로 공기를 타고 수 m까지 날아갈 수 있습니다.


  • 비말감염의 경우 타인의 몸에서 발생하는 분비물,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때 튀어나오는 물방울 같은 입자에 균이나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전파되는 감염을 이야기합니다.

    공기감염은 이보다 훨씬 작은 크기로 분비물 없이도 공기중에 떠다니면서 감염을 시킬 수 있으며

    감염 반경 범위도 50m 정도로 굉장히 넓습니다.

    일반적으로 코로나는 접촉을 통해 감염이 되거나 비말 감염등을 통해 전파되는 직접 감염 경로 형태를 많이 보이나

    공기감염과 같은 간접 감염 경로도 보고되고 있어 2가지 감염 경로로 다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밀접접촉자이거나 확진자인 경우 자택에서 격리를 하게 되는데 같이 사는 사람이 있다면 집이더라도 마스크를 쓰고 계셔야 혹시모를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사람간에 전파되며 대부분은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말하기, 노래 등에 발생한 침방울(비말)에 접촉할 경우 발생합니다.(주로 2m 이내)

    표면접촉, 공기접촉도 가능은 하나 공기전파의 경우 밀폐된 공간과 같은 특정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주로 비말을 통해 전파되나 공기중에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자택격리중이라면 가족들과 접촉을 피해야하고 방 밖으로 나갈때는 마스크를 쓰고 생활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비말감염이지만 기침, 재채기 등으로 공기 중으로 떠다닐 수 있습니다.

    가족들과 함께 지내시면서 공동격리가 아닌 방에서 자가격리중이시라면

    가족들과도 접촉을 하시면 안됩니다.

    또한 방에서도 가능하면 마스크를 착용해주시길 권장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현 의사입니다.

    코로나는 공기중에서 비말에 의해 감염될수있습니다.

    따라서, 집에 확진자가 있다면, 집에서 가능한 거실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는게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