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반응상수 K의 개념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반응상수 K는 화학 평형상태에 도달 했을 때의 상수라고 배웠습니다
근데 반응상수 K의 값이 매우 크면 정반응이 상당히 잘 되어 거의 생성물 쪽으로 완결되며, K의 값이 매우 작으면 역반응이 우세하여 매우 적은 양의 생성물만이 형성된다고 하더라구요.
질문 1
근데 반응상수 K는 화학 평형인 상태니까 정반응과 역반응 어떤게 우세한게 아니라 똑같은 상태 아닌가요? 평형상태라 정반응과 역반응 속도가 동일한데 왜 K가 크면 정반응이 우세하고 K가 작으면 역반응이 우세할 수 있는건가요?
질문2
K값이 크면 반응은 거의 생성물 쪽으로 완결된다는 뜻이요.
"어떤 온도에서 해당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 K값이 크니까 정반응이 역반응보다 우세하므로 화학평형상태에 도달 했을 때 반응물에 비해 생성물이 압도적으로 많다" 이렇게 해석하는게 맞는건가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