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가 늘어나면서 사회적인 문제들도 늘어나고 있는 듯 한데요...
우리나라 사회에서 1인가구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고,
1인 가구를 위한 소형 평수의 아파트들도 날로 인기가 치솓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1인 가구를 형성하여 있는 대부분의 청년들이 스스로를 고립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는데요..
정책적인 부분도 지원이 부족해서 앞으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가 될 가능성이 클 것 같은데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인 변화나 앞으로의 대응 방안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글로벌 추세가 코로나 이후로 혼인 건수 자체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정책적인 이슈라기 보다는 사회문화적인 부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정책적으로 둘이 같이 살게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코로나가 우리 삶을 급격하게 바꾼 만큼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것에도 시간이 소요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1인 가구가 증대하는 것에 대한 정책적인 변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혼자 사는 가구가 증대하게 되면 관련된
복지 정책, 세제 등에서 변화가 예상되며
정부에서 이를 알고 대응할 것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1인가구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첫째, 1인 가구 맞춤형 주거 지원, 생활비 절감을 위한 공공서비스 확대가 필요하고 둘째, 1인 가구를 위한 소셜 모임과 지원센터를 운영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1인 노인 돌봄 서비스 확대가 필요합니다. 방문 건강 관리 서비스, 지역 사회 돌봄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고령층의 복지를 지원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