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 정책과 금리의 상관 관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통화정책과 금리의 상관 관계가 궁금하여 질문을 드리려 합니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조정이 단기 및 장기적으로 소비와 투자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통화 정책의 주요 목표는 물가 안정(주로 인플레이션율 목표)과 경제 성장 촉진입니다. 이를 위해 중앙은행은 금리 조정을 통해 경제를 조절합니다. 기조는 이러하지만 부분적인 여러요소가 많이 포함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통화정책에서 금리를 인상하면 시중에 풀린 돈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한 이유로 통화정책에서 돈줄을 조이고 싶으면 금리를 올리고 반대로
돈을 시중에 풀고 싶다면 금리를 내리게 됩니다.
지금과 같이 내수시장에 어려워진다면 금리를 낮춰서 소비와 투자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조정은 단기적으로는 대출금리 변동을 통해 소비와 투자를 조절하고 장기적으로는 기대심리 변화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쳐 경제 안정화를 도모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대출금리가 내려가 기업은 투자를 늘리고 가계는 소비를 늘리게 됩니다. 이는 경제활성화에 도움이 되지만 인플레이션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를 인상하면 기업은 투자를 줄이고 가계는 소비를 줄이게 됩니다. 이는 경기 침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량이 증가하여 투자와 소비가 증가하게 되며 유통된 화폐량의 영향으로 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경기 활성화에 따른 경제 성장이 물가상승율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경기가 오히려 악화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하를 하면 대출금리가 낮아지고 기업들이 자금조달이 쉬워져 투자를 확대합니다.
고용증가와 임금 상승으로 이어져 소득이 늘어난 만큼 소비가 촉진됩니다.
반면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기업의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생겨 투자를 줄이고 고용 감소와 소득 감소로 경기가 둔화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조정에서 단기적으로는 시중금리도 낮아질 것이란 기대 때문에 소비와 투자가 증가하게 됩니다.
그러나 물가반영을 하는 실질금리를 적용하게 되면 장기적으로는 결국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결국 경기가 악화되죠.
이게 단순히 통화 정책만 보는 것이 아닌 지금 경기가 회복세인지 경기가 더 악화될지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명목금리만 보는데 물가반영을한 실질금리를 따져봐야합니다.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통화정책과 금리는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인데요,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조정하면 가장 먼저 금융기관이 자금을 조달하거나 대출을 제공할 때 적용하는 금리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시중 금리도 높아지고, 내려가면 시중 금리가 낮아지죠.
단기적으로는 금리 상승이 소비와 투자에 제동을 겁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오르면 대출 비용이 증가해 가계는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을 줄이게 되고, 기업도 투자 자금을 조달하는 데 부담이 커지죠. 반대로 금리가 내려가면 대출이 쉬워지고 저축보다는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는 경향이 생깁니다.
장기적으로는 이러한 금리 변화가 경제 성장률과 물가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금리를 올리면 물가 상승 압력을 줄이고, 반대로 금리를 낮추면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금리를 너무 오래 낮게 유지하면 부채가 과도하게 증가하거나 자산 버블이 형성될 위험도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한국은행도 이러한 점을 고려하며 금리를 조정해 왔는데, 2023년 기준으로는 물가 안정과 경기 둔화 우려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신중한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금리인상은 돈의 가치를 올리고, 금리인하는 돈의 가치를 하락시킵니다. 따라서 환율은 상대적 돈의 가치이기에 금리인상 시 환율 하락, 인하시 환율상승이 야기됩니다. 그리고 보통 인하 시에는 단기소비의 증가 인랑시이는 단기소비의 감소로 보는 경향이 강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통화 정책과 금리의 상관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긴축적인 통화 정책으로
금리가 내려가면 완화적인 통화 정책이 펼쳐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 금리가 오르면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가 오르고 따라서 대출 이자 부담으로 사람들이 소비가 줄어듭니다. 또한 저축 이자 증가로 소비보다 저축을 더 하려는 경향 생깁니다. 기업도 마찬가지로 소비를 줄이게 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투자가 감소합니다. 금리 인하를 하게 되면 반대의 현상이 나타납니다.
장기적으로는 금리를 인상하면 기업의 수익성 악화, 고용 감소, 경제 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대신 물가는 안정됩니다. 금리 인하시 반대의 현상이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확장적 통화정책의 경우는 금리를 낮게하고 긴축적 통화정책은 금리를 높이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계부채가 높기 때문에 높은 금리를 유지할 경우 개인의 가처분소득을 떨어뜨려 소비와 투자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통화정책을 실행하며 통화를 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통화는 시중에서 사라지는 유동성이 감소하며, 은행 등에 예금 등의 형태로 들어오게 됩니다. 반대로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시중에서 돈이 풀리는 유동성이 증가하며, 은행에 있는 돈은 줄어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