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학기중 전학 후 내신산출 방식
고등학교에서 중간고사를 치르고 전학을 가서 전학한 학교에서 기말과 수행을 하게되면 내신산출방식이 어떻게 되는건가요? 학교마다 다르다고만 하지말고 보편적인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고등학교에서 중간고사를 치르고 전학을 간 경우, 전학한 학교에서 기말과 수행을 치르게 되면, 이전 학교의 중간고사 성적과 전학한 학교의 기말, 수행 성적을 모두 반영하여 내신을 산출하게 됩니다.일반적으로 고등학교에서의 내신 산출 방식은 교과활동상황(75%)과 비교과활동상황(25%)을 합산하여 200점 만점으로 계산됩니다. 교과는 일반교과(2학년) 60점, 일반교과(3학년) 60점, 체육·예술교과 30점으로 구성되며, 비교과는 출결 20점, 봉사활동 20점, 학교활동 10점으로 구성됩니다.전학을 가게 된 경우, 이전 학교에서 받은 교과 및 비교과 성적은 모두 새로운 학교에서 인정됩니다. 즉, 이전 학교에서 수강한 과목의 성적과 출석, 봉사활동 등의 내역이 새로운 학교에서 그대로 반영되어 내신 산출에 포함됩니다. 단, 학교마다 세부적인 내신 산출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내신 산출 방식은 해당 학교의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또한, 전학 시점에 따라 내신 산출에 반영되는 기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 역시 학교 측에서 안내하는 대로 따르면 됩니다. 내신 산출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 전반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학생들은 최선을 다해 학업에 임하고 학교생활을 충실히 이행해야 합니다. 또한,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개인별 특성과 역량을 고려하여 공정하고 투명한 내신 산출 방식을 적용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학교 시스템마다 차이가 나구요, 일반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전 학교 성적을 가지고 와서 반영을 합니다.
만약 이전 학교 이수한 과목이 전학한 학교 과목이 다를 경우는 비슷한 과목을 찾아 성적을 조정하거나
성적을 그대로 반영하는 방식이 사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