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깔끔한사자138
깔끔한사자138

국민연금이 현재 20대 30대에게도 혜택이 돌아갈 수 있을까요?

국민연금이 현재 20대 30대에게도 혜택이 제대로 갈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제한된 금액이 있다면 국민연금에 투자할지 연금 펀드을 운용하여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을지 답 부탁드립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혹적인까치278
      고혹적인까치278

      안녕하세요. 장효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요즘 말도많고 탈도 많은것이 국민연금이지요.

      이에 대해선 여러 전문가들도 각자 의견이 다 다르기에 정확한 정답을 확신할순 없지만.

      제 개인적인 분석을 말씀드릴자면. 30대까지는 별다른 문제가 없겠으나, 20대부터는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물론 그 문제라는것이 갑자기 연금 전액을 몰수당한다던가 하는 최악의 상황은 아닐것이라 생각하지만. 그것이 원금손실이던 기회비용 손실이던 인플레이션이던 어느 방향으로던 적잖은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애초에 국민연금을 설계할때 먼 미래까지 자금을 유지할수 있도록 설계하지 못하였고.

      더군다나 그 관리 및 책임 주체가 거대한 규모에 비해 다소 모호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모호하다는 말은 그 책임주체의 신용/의지/책임감/정치역학 등을 고려했을 때 그 관리자금 규모에 비해 부족할 수 있다는 뜻이지, 무방비 무질서 상태라는 뜻은 절대 아닙니다.)

      때문에 현재까지는 별다는 문제가 없었고. 또 이론상 아직 수십년은 거뜬히 버틸수 있겠으나.

      사회 혼란 또는 경제붕괴 등 예상치 못한 치명적 문제가 발생된다면. 그 안정성에 의문이 들수 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저 같은 경우엔, 누군가 저에게 국민연금에 대한 조언을 요청한다면.

      질문자가 젊다면 국민연금보단 개인 투자에 좀더 비중을 둘것을 권하고.

      반대로 질문자가 나이가 많다면 국민연금에 좀더 비중을 둘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잔망루피입니다.

      최근 국민연금 관련 뉴스가 많이 나오고 있죠. 뉴스 내용을 종합해보면 2039년 적자 전환, 2055년 소진 된다고 합니다.
      가장 큰 원인은 저출산인데.. 국민연금이 개편되지 않는다면 현 상황으로는 못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도 뭔가 대안이 나오긴하겠죠?

      감사합니다.

    • 저출산으로인한 문제, 고령화등으로 연금낼 사람은 적고 받을 사람은 많고해서 향후 10대들이 연금 받을 시기에 연금을

      제대로 탈수 있을까 의문점을 제시하셨는데, 이때문에 국가에서도 저출산 및 고령화등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고,

      국민연금도 이런한 문제를 알고 준비를 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건강보험 및 국민연금은 잘되고 있는 제도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국가에서 보장하는 제도인만큼 현실적으로 이런한 측면에 들어설 경우 다른 대책이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연금은 국가에서 하는것이고 연금펀드는 개인이 가입하시는것이니 올인하기보다는 ..분할로 해도 나쁘지 않을것 같습니다.

      현재까지는 수익성면에서는 국민연금이 좋을수도 있고..연금펀드는 운용사 및 펀드내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딱히 뭐라고 말씀드릴수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확답을 드리기는 힘듭니다만 지금의 운용성과와 인구성장세로는 조금 힘들어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우리나라의 혼인율과 출산율은 계속 꾸준히 줄어드는 상황이고 이에 따라 생산가능인구가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청년 한명당 부양해야될 연금을 받는 노인인구가 늘어나는 셈입니다.

      하지만 이에 비해 국민연금의 누적성과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통계가 미래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질문자님께서 본인이 생각하기에 더 유리한 쪽으로 선택하시어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