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고독한일개미
고독한일개미22.12.18

인공눈은 자연눈처럼 잘 뭉쳐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눈이 안내릴때 제설기를 통해 인공눈을 만들어 스키장같은곳에 뿌리는데

인공눈은 자연눈보다 잘 뭉쳐지지 않는것이 차이점이라고 하던데

인공눈은 자연눈처럼 잘 뭉쳐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만들어진 결정들의 모임입니다. 공기 중의 작은 얼음 입자에 공기 중의 수증기가 달라 붙어 커지게 되는데요. 공기 중의 작은 먼지 입자들은 수증기를 모아주는 핵의 역할입니다.

    만일 습도가 낮으면 뭉쳐지기보다 얼음 결정이 융합이 안 되어 가루처럼 부스러지는 것이고,

    습도가 있고 뭉치는 손의 열기에 조금씩 녹으며 결집하면 튼튼한 눈뭉치가 되는 것이죠.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눈을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연눈의 결정에 비해서 인공눈의 결정은 얼음과 비슷합니다. 그러다보니 자연는은 부드럽게 잘 뭉쳐지지만, 인공눈은 잘 뭉쳐지지 않습니다.


  • 인공눈은 제설기로 만들 수 있습니다.

    물을 공중에 뿌려 아주 작은 입자로 나눈 후,

    이 작은 입자가 땅에 떨어지기 전에 순식간에 얼리면 인공 눈이 됩니다.

    이 수증기가 눈으로 변하는 것이 단열 팽창으로 인해 가능합니다.

    외부와 열 교환이 없는데 갑자기 부피가 팽창하면 기온이 떨어지는 것을 단열 팽창이라고 합니다.

    인공눈은 얼음 3 : 공기 7의 비율인 반면

    자연눈은 서서히 얼려서 만들어진 결정체이고, 자연눈은 얼음 1 : 공기 9 정도입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인공눈이 잘 뭉쳐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