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 적자라는 단어는 무슨 뜻인가요?
경제에서 적자라는 말 많이 쓰이는데, 쌍둥이 적자라는 말도 있더라구요! 쌍둥이면 둘이라는 뜻인데 그럼 어떤현상이 동시에 일어났다는 뜻의 경제 단어인가요?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쌍둥이 적자란 경상수지 적자와 재정수지 적자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용어는 1980년대 미국에서 막대한 무역적자와 재정적자가 누적되는 상황을 일컫는데, 이 배경에는 고금리정책, 스타워즈 계획과 같은 방위정책에 대한 거액의 재정지출, 감세정책 등이 있었습니다.
이 용어는 국민경제에서 "가계, 기업, 정부, 해외"의 네 주체가 존재한다는 전제 하에 설명됩니다. 일반적으로 국민소득은 Y, 가계소비는 C, 기업투자는 I, 정부투자는 G, 무역수지는 NX라고 할 때, Y=C+I+G+NX이 되고, 다시 (Y-C)-(I+G)=NX가 됩니다. 이것은 총 저축 (Y-C)-총 투자 (I+G)=무역수지 (NX)라는 의미입니다. 다른 항목이 변하지 않고 정부투자 G만 증가하면 (정부 지출이 증가하면 Y도 증가해야하지만, 총소득이 증가하지 않으면) NX가 감소합니다.
결국 정부투자를 증가시키면 무역수지가 악화하며, 재정수지도 악화시킵니다. 이렇게 재정수지악화와 무역수지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쌍둥이적자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쌍둥이 적자라고 하는 표현은 재정수지악화와 함께 무역수지가 함께 적자의 상황을 보이는 것을 말해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쌍둥이 적자"는 경제 용어로, 정부의 예산이나 재정에서 정부의 지출이 수입보다 많은 상황을 두 개의 적자로 비유한 것입니다. 즉, 정부의 예산 적자와 외환 적자가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쌍둥이 적자란 경상수지 적자와 재정수지 적자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쌍둥이 적자는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을 때 생기는 경상수지 적자와 세금수입보다 재정지출이 더 많을 때 생기는 재정수지 적자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쌍둥이 적자라는 용어는 재정수지와 무역수지가 동시에 적자가 발생했을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쌍둥이 적자(twin deficits hypothesis, twin deficits phenomenon)[1]는 1980년대 당시, 미국의 대통령인 로널드 레이건 정권 이래 미국에서 막대한 무역적자와 재정적자가 누적되는 상태를 일컫는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쌍둥이 적자'란 무역수자 적자와 재정 수지 적자가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역수지 적자란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을 때 생기는 경우에, 재정수지 적자는 정부의 세금 수입보다 재정지출이 더 많을 때 생기는 경우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쌍둥이 적자(twin deficits hypothesis, twin deficits phenomenon) 는 1980년대 당시, 미국의 대통령인 로널드 레이건 정권 이래 미국에서 막대한 무역적자와 재정적자가 누적되는 상태를 일컫는 말 입니다. 이 배경에는 레이건 정권의 고금리정책이 행하여져 달러 가치가 높았고 해외 제품의 유입이 일어나 스타워즈 계획과 같은 방위정책에 대한 거액의 재정지출과 감세정책으로 이어 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쌍둥이 적자는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을 때 생기는 무역수지 적자와 정부의 세금 수입보다 재정지출이 더 많을 때 생기는 재정수지 적자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일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