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태백산상어
태백산상어

프로탁 기술과 표적단백질이 무엇인가요?

책을 읽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프로탁은 표적단백질과의 결합부, E3와의 결합부, 이 둘을 잇는 결합부로 구성이 되어 유비퀴틴-프로테아좀 단백질 분해를 유도한다고 알게되었습니다.

E3는 유비퀴틴 효소인데 E1, E2는 이 단백질 분해 과정에 참여를 하지 않는 것인가요?

그리고 표적 단백질이라는 것은 암 등의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제거하고자하는 특정 단백질을 말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프로탁은 흥미로운 기술로 특정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특정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하기 위해 개발된 분자입니다. 이 기술은 특히 약물 저항성이나 난치성 질병의 치료를 목표로 하는 의학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로탁은 표적 단백질과 E3 리가아제 사이의 인공적인 상호작용을 조성하여, 표적 단백질의 유비퀴틴화를 촉진합니다.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은 이후 프로테아좀에 의해 인식되고 분해됩니다. E1과 E2 효소도 단백질 분해 과정에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들은 E3 리가아제와 함께 유비퀴틴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표적 단백질은 질병의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거하고자 하는 특정 단백질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암에서는 종종 특정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단백질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여 그 기능을 억제하거나 없애는 것이 치료의 목표가 될 수 있습니다. 프로탁은 이러한 표적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려는 전략의 일환입니다.

  • 프로탁 기술은 단백질 분해 표적 키메라(PROTAC)를 이용하여 질병 원인이 되는 표적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하거나 비활성화시켜 치료하는 새로운 신약 개발 플랫폼을 말합니다. 기존의 약물 치료와는 달리, 표적 단백질을 직접적으로 막거나 변형하는 대신, 세포 내 단백질 분해 시스템을 활용하여 제거하는 방식이죠.

    프로탁 기술은 보통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리간드1 : 표적 단백질에 결합하는 부분입니다.

    • 링커 : 리간드1과 리간드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리간드 2 : E3 리가아제라는 단백질 분해 효소에 결합하는 부분입니다.

    프로탁 분자가 세포 내에 들어가면, 리간드 1은 표적 단백질에 결합하고, 리간드 2는 E3 리가아제에 결합합니다. 이렇게 연결된 E3 리가아제는 표적 단백질에 유비퀴틴이라는 단백질 표지를 붙여, 마치 쓰레기 처리 신호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유비퀴틴 표지가 붙은 표적 단백질은 세포 내의 프로테아좀이라는 분해 기계에 의해 분해되어 제거되게 됩니다.

    표적 단백질은 특정 질병 발병 또는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의미합니다. 프로탁 기술은 이러한 표적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죠.

  • 프로탁(PROTAC) 기술은 표적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입니다. 표적 단백질은 indeed 질병을 유발하거나 진행에 관여하는 특정 단백질을 의미합니다. E3 리가아제만 언급되었지만, 실제로 단백질 분해 과정에는 E1, E2, E3 효소가 모두 참여합니다. E1은 유비퀴틴을 활성화하고, E2는 활성화된 유비퀴틴을 전달하며, E3는 최종적으로 표적 단백질에 유비퀴틴을 부착합니다. 프로탁은 이 과정을 이용해 표적 단백질과 E3 리가아제를 근접시켜 표적 단백질의 유비퀴틴화를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프로테아좀에 의한 분해를 유도합니다. 따라서 E1과 E2도 이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프로탁의 직접적인 작용 대상은 E3와 표적 단백질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표적단백질은 말씀하신대로 제거하고자 하는 특정 단백질을 말하는 것이 맞습니다.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으로 단백질을 분해하기 위해서 표적 단백질의 유비퀴틴화가 필요합니다.

    표적단백질에 유비퀴틴이 여러개 이어붙는 유비퀴틴화가 일어나면 프로테아좀이 유비퀴틴화된 표적단백질을 분해합니다.

    유비퀴틴화에는 E1 E2 E3 단백질이 차례대로 필요합니다.

    E1 단백질은 ATP를 사용하여 유비퀴틴을 활성화하는 효소이고,

    활성화된 유비퀴틴은 E2 효소에 붙게됩니다.

    활성화된 유비퀴틴이 붙은 E2 단백질은 E3 Ligase와 결합합니다.

    E2는 E3에 결합한 후 E3에 붙은 표적단백질에 E2에 붙어있던 활성화된 유비퀴틴이 옮겨저 붙게됩니다.

    위 과정이 반복되면서 표적단백질에 여려개의 유비퀴틴이 사슬모양으로 부착됩니다.

    프로팍은 E3효소가 원래 결합하는 단백질 부위와, 표적단백질과 결합하는 단백질 부위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E3 효소와 표적단백질이 서로 가까이 연결되고 표적단백질에 유비퀴틴화가 일어납니다.

    적절한 수의 유비퀴틴이 붙으면 표적단백질은 프로테아좀에 의해 분해됩니다.

  • 안녕하세요. 'PROTAC(Proteolysis-targeting chimera) 기술'은 세포 내의 단백질 분해 기전인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을 활용하여, 질병을 유발하는 단백질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기술을 말하는데요, ADC를 이을 차세대 기술로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차세대 유망 기술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때 질병을 유발하는 단백질 또는 분해하고자 하는 단백질을 표적단백질이라고 부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프로탁 기술은 단백질 분석 기술 중 하나로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기술은 단백질의 구조를 조사하고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그리고 단백질의 활성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표적단백질은 특정 조건에서 특정 단백질이 활성화되는 단백질을 말합니다. 이는 단백질의 활성화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암세포에서 특정 단백질이 활성화되는 것을 연구할 때 이 단백질을 표적단백질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프로탁 기술과 표적단백질은 단백질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제나 약물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