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시장에 세력이 장난 칠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시가총액이 작은 주식이나 알트코인들로는 세럭들이 충분히 조작을 하며 장난을 칠 수 있다고 생각하기는 합니다만 시가총액이 큰 주식이나 비트코인같은 규모가 큰 자산들로 세럭들이 어떻게 장난질을 칠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그 돈으로 규모가 작은 자산을 가지고 장난을 친다면 더 크게 벌어갈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투자 시장에 세력이 장난 칠 수 있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투자 시장은 일반적으로 소문에 약하고
또한 거대한 자본력에 취약하기에
세력들이 들어올 틈이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오늘 새벽 코인선물시장에서 약 191억 달러로 추정되는 금액이 청산을 당했습니다 한화로 약 27조원 규모죠
규모가 큰 자금을 운용하여 반대 포지션을 청산시킨거죠 어제 청산자금 대부분이 롱 포지션 들고 있던 투자자들이거든요
이런 매매방식이 세력들 장난이라고 말은 하지만 사실 큰 자금을 운용하면서 돈을 벌기 위한 투자기법 중 하나라고 생각해야하는게 맞긴 할거 같습니다
물론 우리나라 잡주나 국내 코인거래소에서 알트코인 가지고 가격 펌핑해서 팔아먹고 튀는건 장난질이 저도 맞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조차 사실 법적으로 제재를 가할 수단이 없으니 결국 자본시장에서 돈이 많은 투자자가 승리하는건 어찌보면 막을수 없는 팩트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론 규모가 워낙 크다 보니까 작은 규모의 자금으로는 티 나게 조작하기가 힘들지만, 엄청나게 큰 기관이나 큰손들이 결합하거나, 대규모 자금을 동원해서 특정 시점에 대량 매수나 매도를 쏟아내면서 시장의 심리를 움직이려는 시도를 하기도 합니다. 갑작스러운 대규모 매수나 매도는 시장의 가격 변동성을 크게 만들고, 또 특정 뉴스를 이용해서 매수 심리를 부추기거나 반대로 불안감을 조성해서 투자자들의 행동을 유도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세력은 대량 자금과 정보력으로 단기 시세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이 큰 자산은 어렵지만 파생상품이나 선물 포지션으로 간접 조정이 가능합니다. 결국 유동성이 집중된 구간에서 심리적으로 시장을 흔드는 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이 비트코인정도 되면 세력이 장난칠 정도는 안됩니다.
따라서 대형주나 비트코인을 세력이 장난친다고 보기 보다 시장의 흐름이 그렇게 가는
것입니다
즉 시장에서 장난을 친다고 느낄 수는 있어도 어떤 세력이 의도를 갖고
이 시세를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은 오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장된 대형주나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시가총액이 수조, 수십조원 이상의 투자 대상으로 소수의 세력이 시세 조정 등을 통해 가격을 임의로 끌어 올려 개미 투자자들을 유인한 뒤 먹튀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다만, 작게는 수백억원의 시가총액을 가진 주식이나 수천억원 대의 주식 같은 경우 일부 투기 세력이나 기관 투자가가 충분히 시세 조정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코인의 경우 신생 코인이나 신규 상장 코인의 경우 세칭 '가두리 매매' 또는 '자전 거래'를 통해서 거래량을 늘린 뒤 가격을 임의로 끌어 올려 뒤늦게 합류한 일반 투자자들에게 물량을 일시에 넘긴 뒤 먹튀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자본주의 시장에서는 자본의 힘이 크면 클 수록 막강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형투자자나 기관은 특정 시간에 급격한 매수와 매도를 통해 가격을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이 큰 자산이라 하더라도 낮은 유동성을 이용하면 세력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이 큰 자산이라도,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나 공포가 한쪽으로 쏠릴 때는 상대적으로 적은 자금으로도 가격을 흔들 수 있습니다. 특히 파생상품이나 선물 포지션을 활용하면 직접 매수를 많이 하지 않아도 방향을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어제도 중국 관세이슈로 비트코인이 하락하고 도미넌스가 급등하면서 알트코인이 폭락한 케이스로 유동성 조정이 있지 않을까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비트코인이나 대기업 같은 시가총액이 높은 자산의 경우 세력의 조작은 거의 어렵다고 봅니다.
같은 100억이지만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의 주가는 널뛰기할 수 있을 정도로 시세를 올릴수 있으나 큰 기업은 시세 조작의 한계가 있는 것이지요.
보통은 큰 시가총액은 세력이 장난치는것은 불가능하여 함부로 진입을 못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변동성이 약해 수익의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