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반응에서 촉매는 왜 소모되지 않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화학반응을 시킬 때 촉매를 사용하면 반응 속도가 더 빠르게 일어 납니다 그런데 나중에 남은 촉매의 양은 처음과 변화가 없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화학반응이 진행될 때 촉매는 재활용되기 때문입니다. 즉, 촉매가 반응물처럼 최종 산물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반응 경로를 바꾸는 역할만 하기 때문입니다.
촉매는 반응이 진행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에 해당하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데요, 보통 반응물과 일시적으로 결합하여 중간체를 형성합니다. 이 상태에서 반응이 훨씬 쉽게 일어나고, 최종 산물이 생성되면 촉매는 다시 떨어져 나와 원래 상태로 돌아옵니다. 다만 이때 촉매가 절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닙니다. 반응 도중에는 분명히 화학적 상호작용을 하고 일시적으로 변형되지만, 전체 반응이 끝나면 원래의 상태로 재생되므로 결과적으로 양이 줄지 않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촉매의 정의가 반응에 참여하시면 반응에서 소모되지 않으면서 반응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한데, 촉매는 일시적으로 반응에 참여하여 기존 반응보다 낮은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한 새로운 경로를 만들어줄뿐 반응 전후의 양은 변화가 없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촉매는 화학 반응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입니다. 촉매는 반응물과 일시적으로 결합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새로운 반응 경로를 제공합니다. 이 과정에서 촉매는 중간체를 형성했다가 반응이 진행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됩니다.
즉, 촉매는 반응을 돕는 "임시 조력자" 역할만 하고, 최종 생성물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촉매의 원리입니다 촉매라 함은 반응에 직접 참여하진 않지만 반응 속도등을 조절해주는 물질을 촉매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