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침착한치타57
침착한치타57

만니톨 처치에 대하여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80
기저질환
심장병,뇌종양

뇌질환 관련하, 발작환자를 처치를 빈번히 해보신 의사분들께

질문드리고싶습니다.

제가 아는 분들에게 말씀을 드리면,

1차로는 대부분 디아제팜 , 그리고 안되면 진정제 투여로

장시간 재워서 발작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쓰시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질문은, 위 방법을 쓰지않고서, 발작을 한다는 이유로

만니톨처치를 하는것이 올바른 것인지, 이것또한 의사의

재량으로 하는것임으로 존중해야되는 처치인건지 궁금합니다.

또한, 만니톨 처치함에있어서 금기사항인 부분인

심장병을 가지고있는환자, 폐질환(폐수종)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는 금기사항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만니톨 처치가 진정제 투여 보다도 우선순위가 될수가있을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만니톨 처치는 발작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두개내압을 낮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만니톨은 삼투성 이뇨제로, 뇌부종이나 고혈압성 뇌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두개내압 상승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만니톨 처치를 발작 환자에게 사용하는 것은 두개내압 상승이 발작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거나, 발작이 뇌부종으로 인한 것일 때 적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니톨 사용 여부는 환자의 임상 상태와 두개내압 상승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니톨 사용 시 금기사항으로는 심장병, 특히 울혈성 심부전, 폐질환, 특히 폐부종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환자에게 만니톨을 사용하면 체액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어 위험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만니톨 처치는 발작 자체를 완화하기 위한 1차 치료제라기보다는,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보조적 치료로 사용됩니다. 발작이 기저질환인 간질로 인해 생겼다면 진정제 추여가 일차적이겠으나 발작이 뇌부종으로 인한 두개내압 상승이 동반된 경우에 한해 우선적으로 고려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