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박식한비둘기179
박식한비둘기179

육십갑자란게 어떤걸 말하는건가요?

육십갑자란걸 언뜻 들어보기는 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걸 말하는 건가요 아마 오래전 중국에서 유래되었을거 같은데 점보는데 사용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나무777
      나무777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간 10개(십간)와 십이지를 짝으로 맞추어 만들면 60간지가 나오는데 이것을 육십갑자라 합니다.

      천간 :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십이지 :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고대 상나라 사람들은 천계에 10가지 태양이 있고, 이 태양이 하루에 하나씩 차례대로 뜨고 져서 총 10일 주기를 이룬다고 믿었습니다. 천간은 이 태양들에게 붙였던 이름에서 출발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 이름을 붙인 기준이 무엇인지는 명확히 알수 없다고 하네요.

      십이지는 중국의 율력에 사용하던 12가지 글자에 12동물 붙었는데, 언제부터 해당 동물을 의미하게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합니다.

      사주나 주역에서는 십간과 십이지의 음양오행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육십갑자는 10개의 십가과 12개의 십이지로 구성된다. 시간과 날짜를 계산하는 용도로 태어났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운세에도 영향을 미친다. 갑자운세가 그에 해당되고 넓게는 명리학에도 관계가 있다. 육십갑자의 같은 단어가 나올 때는 60년이란 주기를 가지며, 십이지의 경우 동물을 뜻한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육십갑자는 12지간이 다섯번 반복된다고 보면 됩니다.

      을사조약, 을미사변 등이 이 육십갑자에 의한 연대 표시라 할 수 있겠습니다.

      천간(天干)에 속한 글자와 지지(地支)에 속한 글자를 차례로 하나씩 맞추어서 얻은 60개의 서로 다른 맞춤을 말한다. 육십갑자로 셈을 세면 61번 만에는 같은 맞춤이 오는데 이것을 환갑(還甲)이라고 한다. 지난날에는 육십갑자를 연대 표시에 썼다. 육십갑자의 차례는 다음과 같다.

      갑자(甲子) · 을축(乙丑) · 병인(丙寅) · 정묘(丁卯) · 무진(戊辰) · 기사(己巳) · 경오(庚午) · 신미(辛未) · 임신(壬申) · 계유(癸酉) · 갑술(甲戌) · 을해(乙亥) · 병자(丙子) · 정축(丁丑) · 무인(戊寅) · 기묘(己卯) · 경진 (庚辰) · 신사(辛巳) · 임오(壬午) · 계미(癸未) · 갑신(甲申) · 을유(乙酉) · 병술(丙戌) · 정해(丁亥) · 무자(戊子) · 기축(己丑) · 경인(庚寅) · 신묘(辛卯) · 임진(壬辰) · 계사(癸巳) · 갑오(甲午) · 을미(乙未) · 병신(丙申) · 정유(丁酉) · 무술(戊戌) · 기해(己亥) · 경자(庚子) · 신축 (辛丑) · 임인(壬寅) · 계묘(癸卯) · 갑진(甲辰) · 을사 (乙巳) · 병오(丙午) · 정미(丁未) · 무신(戊申) · 기유 (己酉) · 경술(庚戌) · 신해(辛亥) · 임자(壬子) · 계축 (癸丑) · 갑인(甲寅) · 을묘(乙卯) · 병진(丙辰) · 정사 (丁巳) · 무오(戊午) · 기미(己未) · 경신(庚申) · 신유 (辛酉) · 임술(壬戌) · 계해(癸亥).

      [네이버 지식백과] 육십갑자 [六十甲子]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육십갑자는 천간에 속한 글자와 지지에 속한 글자를 차례로 맞춰 만든 60개의간지입니다.

      10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이며 12간지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로 이를 파례로 맞추어 써 60년을 일주로 한 것입니다.

      천간은 그대로 두고 지지가 5번 돌면 60갑자가 완성되며 천간의 처음 글자인 갑 자와 지지의 처음 글자인 자 자를 시작으로 천간과 지지를 순서대로 배합애 육십개조가 조직되므로 갑자에서 시작해 갑자로 돌아오기까지 60개의 조합이 있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간지는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한 것으로, 육십갑자라고도 합니다.

      육십갑자(六十甲子)는 천간과 지기의 결합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10과 12의 최소 공배수가 60, 즉 60년 마다 한번씩 동일한 갑자가 된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2023년은 계묘년인데, 계묘년(癸卯年)은 육십간지의 40(100)번째 해입니다. '계'는 흑이므로 '검은 토끼의 해'이며,

      서력 연도를 60으로 나눠 나머지가 43인 해가 해당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