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나혼자산낙지
나혼자산낙지

극장가가 위기를 맞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코로나 직전까지 호황이였던 극장계가 코로나 이후 급격하게 관객들이 감소를 하고 천만관객은 이제 나오기가 힘든 수치가 되었는데요. 이렇게까지 극장계가 무너진 이유가 무엇일까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영화 산업의 위기는 코로나19 이후 OTT서비스 플랫폼의 성장과 높은 관람료, 줄어든 흥행작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하여 관객들이 영화관을 찾지 않게 되면서, 영화산업의 매출과 관객이 급감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OTT확산으로 관객이 분산되었고 제작비 급등과 티켓 가격인상도 영향을 주게 되었습니다. 대형 스크린 대신 모바일 시청이 주류가 되면서 극장 수익 구조가 흔들린 것입니다. 콘텐츠 다양화와 체험형 상영관이 돌파구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극장가가 위기를 맞은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극장가가 위기를 맞은 것은

    킬러 컨텐츠 (영화) 가 많이 나오지 못하고 있고

    경쟁자들인 OTT가 훨씬 더 저렴하기에

    사람들이 극장에 발길을 끊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로 한동안 문을 닫으면서 관객들이 완전히 다른 소비 패턴에 익숙해졌습니다. 이제는 극장보다 집에서 OTT로 보는 게 기본이 된 거죠. 게다가 물가 오르면서 영화 한 편 보러 가는 비용이 체감상 꽤 부담스럽습니다. 보기에 대작 몇 편만 흥행하고 중간 규모 영화는 설 자리가 거의 사라졌습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극장이 위기라기보다, 관객들의 시간과 돈이 다른 콘텐츠로 이동한 상황에 더 가깝습니다. 그래서 지금 극장은 생존보다 ‘무엇으로 다시 끌어올릴까를 고민하는 단계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코로나 시기 직격탄을 맞고 이를 대응하기 위해 티켓 값을 올렸습니다

    • 즉 반드시 오는 고객의 돈을 더 받아내며 마진을 유지하려는 전략이였습니다

    • 그러나 일반 고객의 경우는 크게 부담이 되어 극장의 등을 돌렸습니다

    • 동시에 넷플릭스와 같이 OTT에 대한 콘텐츠 가치가 올라가면서 극장을 안가고

      집에서 콘텐츠를 즐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극장가가 위기를 맞은 이유는 무리한 가격인상때문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이전에 영화관람비가 8천원 하던것을 코로나 시기와 맞물려 영화비 1만 오천원까지 인상하는것으로 인해, 그리고 영화비에 비해 그 스토리나 완성도가 낮아진것이 하나의 이유라고 볼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ott를 통해서도 충분한 영상을 볼수 있기도 하고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팬데믹 기간 동안 극장 폐쇄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사람들이 집에서 OTT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습관이 고착화되었고, 여기에 영화 티켓 가격이 팬데믹 이후 40~50% 가까이 크게 인상된 것도 한몫했습니다. 여러 부대비용까지 합치면 한 번 극장에 가는 데 드는 비용이 월 1만원 내외인 OTT보다 훨씬 부담스러워진 부분도 영향을 미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