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경술국치란 무슨일이 있었던것이죠?

안녕하세요? 경술국치라고 경술년에 일어난 치욕스런일을 경술국치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치욕스런 일은 무슨일이 있었던것이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8월 29일을 일컫는 말이다. '국권피탈'이라고도 합니다.
      이날은 '경술년에 있었던 국가적 치욕'이라는 의미에서 '경술국치라고 부릅니다.

      이는 한일합병을 두고 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일제의 침략으로 국권을 상실한 1910년의 경술국치 전반을 이르는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술국치 시기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 시기였습니다. 이때 일본은 한국을 비롯한 다른 아시아 국가들을 자신의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강제 병역제도나 교육, 언론, 경제 등 모든 분야에서 강도 높은 통제와 억압을 가했습니다.

      한국이 일제에게 지배당하게 된 것은 1910년 대한제국의 병력이 일본에게 패배하고, 일본의 강제병역제를 받는 한국인들이 1930년대 이전에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저항하지 않은 것과, 일본에게서 자주적이고 독립된 국가로서 발전하려는 의지와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경술국치 시기에 한국이 일제에게서 지배당했던 이유는 다양하지만, 일본의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압박과 한국 내부의 무력한 대처 등이 그 원인이 되었다고합니다.이에 따라, 한국의 지도자들은 주로 협박과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의 요구에 순응하고, 대접 변화나 군사적 저항 등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합병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었습니다.

      대한제국의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과 제 3대 한국 통감인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형식적인 회의를 거쳐 합병조약을 통과시켰으며 8월 29일 이 조약이 공포되면서 대한제국은 국권을 상실하게 됩니다.

      이로써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실질적 통치권을 잃었던 대한제국은 일본 제국에 편입, 일제강점기가 시작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운양호 사건을 계기로 통상을 강요하는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 조약을 체결합니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황성신문의 주필인 장지연은 1905년 11월 20일에 시일야방성대곡이라는 사설을 통해 민족정의를 호소하면서 격렬하고 비분강개하면서 울분을 토로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술 국치는 경술년에 발생한 국가의 치욕스러운 사건이라는 말입니다. 일제가 대한제국에게 통치권을 일본에 양여한다는 것을 규정한 한일병합조약을 강제로 체결하고 이것을 공포한 경술년 (1910년) 8월 29일을 일컫는 말인데요. 5천년 역사상 처음으로 국권을 상실한 치욕의 날이 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