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느긋한벌51
느긋한벌51

상한가 부근 매도 시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다른분들은 어떻게 주식하고 계신지 궁금해서 질문남깁니다.
상한가 부근에서 매도 언제 하시나요?
상한가에 치시는지, 아니면 상한가 바로 전 전고점 부근에서 빠져나오시는지..
지금 상한가 치고있는데 빼야할지 더 있어봐야할지 고민중이라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독한홍학41
      고독한홍학41

      아무것도 정답은 없을 거 같아요.

      종목마다 달라서 그때그때 대응도 다를거 같네요.

      한가지 확실한건 꼭 상한가에서 판다, 상한가 부근에서 파는 것보다는, 그 부근에서부터 조금씩 분할매도를 하는게 좋습니다.

      손해를 보지 않기위한 최고의 대응이구요.

      더 높은 곳을 기대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정감도 줍니다.

      저같은 경우는 상한가까지 분할매도하면서 상한가시 매물대를 보고 대응하는 거 같아요.

      강한호재+섹터동반상승+두터운 매물대면+상승초기면 분할매도를 많이 하지 않고 버티구요.

      한가지씩 빠질때마다 좀더 매도를 많이 해두는 편입니다.

      정답이 없기 때문에 많은 의견들어보시고, 좋은 판단하세요~

    • 상한가에서 매도를 치지 않는건 추가 상승을 노리는건데요,

      만약 상한가를 만든 당일 거래대금이 1000억이라고 치면 상한가 잔량이 그 거래대금의 절반이상일경우 다음날 갭상승한다고 보고 홀딩관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한가가 풀리더라도 다음날 쩜상으로 날아가는 종목이 있습니다.

      이를 예측하려면 종목이 가진 테마,재료나 이슈의 연속성으로 예측되어야 될것 같습니다.

    • 상황에 다라 다르겠지만 전 한 종목이 상한가를 찍으려 할때 상한가를 찍는 속도를 봅니다. 얘가 상을 찍기 전에 힘이 빠지거나 계속 던지는 사람이 많이 보이면 흐를까봐 위에서 서서히 내려가기 시작했을때 팝니다. 하지만 거의 쉴 틈 없이 엄청난 힘으로 급등을 했다면 전 다음날도 더 먹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감 때문에 일단 홀딩하고 다음날 상황을 봅니다.

    • 거두절미하고 기업분석에 확신이 없다면 매도하시는게 좋습니다

      저의 경우는 기간투자를 생각한 종목이 있는데 기술적분석에 의한 목표가 도달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단 한주도 매도하지 않았습니다 현재 고가대비 절반가량 수익금이 줄어든 상태지만

      그만큼 업종과 종목의 특성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믿고 들고가는겁니다

      상한가 종목 접근시 캔들의 형태가 어떤지, 호가 흐름이 어떤지 잘 관찰해야합니다

      상한가에 맞춰 매도하든 단기흐름이 바뀌어 빠져나와야겠다 생각하든 방법의 문제이지

      어짜피 본전대비 수익이 나는 상태면 언제든 옳다고 생각합니다

      이벤트를 등에 업고 상한가를 치는 경우 이슈가 단기적인지, 장기적으로 볼 수 있는지 생각해보고

      한계점이 분명하다 생각하면 비중관리를 해줍니다

      보통 절반정도 익절하고 절반은 나눠서 들고가거나 매도합니다

      상한가를 갔다는 것 자체가 단기적으로 과열됬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비중관리는 필수지만

      경우에 따라 다르므로 백테스팅이 많이 필요한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