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운전경력 1년 기준을 알려주세요
운전경력 1년이라함은, 보험을 가입해야하나요? 아니면 운전면허딴지 1년넘으면 되나요? 기준이 명확치않아서 참 헷갈리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본인이름으로 보험가입한 경력입니다.
면허로만 보면 보험사는 본인이 운전을 했는지 안했는지를 알수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면허를 가지고 있다고 운전경력이 올라 가지 않습니다.
자신의 명의의 차로 자동차 보험을 가입해서 운전을 해야 경력이 인정 됩니다.
또는 부모님 명의의 차에 기명피보험자 1인 추가 해서 운전을 하시면 3년까지 인정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험사에서 말하는 운전경력은 곧 가입경력입니다.
- 본인 주민등록을 등록해야만 1년단위로 가입경력이 인정됩니다.
- 차량보험의 운전자로 등록시 1계약당 2명까지 보험가입경력을 인정받을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운전자보험은 면허를 취득하고 바로 가입을 해야 하는 보험이고
자동차보험은 아시다시피 자동차를 구입하면 의무로 가입을 하는 보험입니다.
경력은 상관이 없습니다. 10년경력 운전자도 사고가 나니깐요.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단순히 운전 경력 1년이라는 것은 운전 면허 취득 후 1년이후 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보험에서 운전 경력은 보험 가입 경력을 말하기 때문에 어떤 내용인지에 따라 기준이 달라 질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