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쳐기업에 투자유치 방식관련 질문 올립니다.
우리나라 벤쳐기업에서 외국의 자본에 대해 투자유치액수가 점정 줄어 들고 있다고 하는데요. 투자유치 방식이랑 우리나라 규제가 심한가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벤처기업의 외국 자본 투자 유치가 감소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한국의 규제가 복잡하고 엄격해 외국 투자자들에게 매력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몇 년간 금리 상승과 같은 경제적 요인이 투자 유치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정부는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 큰 효과를 보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벤처기업이 투자 유치를 하는 방식은,
엔젤 투자(Angel Investment): 개인 투자자들이 초기 단계의 벤처기업에 자금을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벤처 캐피털(Venture Capital): 벤처 캐피털 회사는 벤처기업에 자금을 투자하고, 주로 기업의 지분을 보유하게 됩니다.
크라우드 펀딩(Crowdfunding): 다수의 개인으로부터 소액의 자금을 모으는 방식입니다.
정부 지원 및 보조금: 각국 정부는 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보조금을 제공합니다.
기술 이전 및 라이센싱: 벤처기업이 보유한 기술을 다른 기업에게 라이센싱하거나 기술을 이전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입니다. IPO(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공개): 벤처기업이 일정 규모로 성장한 후 주식을 공개 시장에 상장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입니다. 전략적 투자자(Strategic Investors): 기존 기업들이 벤처기업에 전략적인 목적을 가지고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시장 자체가 전적으로 개방이 자유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렵기에 줄어드는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유치 방식이나 규제에 대한 영향보다는 현재 신규투자에 대한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이 저조한 것이 더 큰영향을 주고 있다 예상됩니다.
벤처투자의 경우 글로벌에서 먹힐만한 기술력이 있는 것이 아닌 이상
내수경기가 좋아야 할 텐데 현재 한국은 낮은 출산율과 pf부실 등 다양한 경기침체 요인으로 내수경기를 부정적으로 볼 여지가 많고,
글로벌 투자자 관점에서 현재 선진국 기준금리가 높은 상태에서 신규투자를 진행하기엔 리스크가 큰 것도 한 몫한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벤처기업에 투자유치 방식관련한 내용입니다.
현재로선 해외에서 투자유치를 성공하기만 하면
그렇게 심한 규제가 존재하진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