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영특한독수리54
영특한독수리54

폐백의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흔히 전통 결혼식을 하면 그 대추나 여러 재료들로 폐백이라는것을 하던데요.

이런 폐백문화는 어디서부터 시작된거고, 왜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폐는 선물로 서로 주고받는 예 이며, 백은 비단입니다.

    폐백은 예의로서 비단을 선물로 올림을 의미합니다.

    폐백의례 행위는 제사와 혼례에서 찾을수 있으며 국가적 제례인 종묘제례같은 대향에서 폐백을 사용했습니다.

    예기에서 종묘제례와 같은 대향에 신에세 선물로 폐백을 올리는 것은 신의 덕을 존중하는 행위에서 출발한다고 했습니다.

    국가에서 주관하는 가례에는 혼약의 증거로 신부 집에 사자를 보내어 폐백을 받게 하는 예인 납징이었으며 이 의례는 의례 사혼례가 근거로 고례를 따르고자 한 데서 출발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폐백"이란 한국인의 통과의례에서 결혼의 의례중 하나로, 혼례식을 마친 후 신랑집이나 예식장의 폐백실에서 신부가 신랑의 가족에게 정식으로 첫인사를 올리는 절차를 말한다. 신랑, 신부가 절을 받은 시아버지는 폐백 대추를 시어머니는 폐백보를 "며느리의 흉허물을 덮어주겠다"는 뜻으로 쓰다듬어 주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폐백음식인 대추, 밤, 은행 등은 자손번영, 수명장수, 부귀다남의 의미이며 육포와 닭은 시부모님을 받으로 공경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