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렁이는 어떻게 생기고 왜 비만오면 나오나요
지렁이는 어떻게 생기고 왜 비 만오면 나오나요. 비가 오지 않는 날에는 어디서 지내나요. 어느 곤충의 알에서 부화사는지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지렁이는 알에서 부화합니다. 지렁이는 성체가 되어 성숙하면 짝을 지어 교미를 하고, 이후 알을 낳습니다. 지렁이의 알은 흔히 '코쿤'이라고 불리는 작은, 단단한 케이스 안에 형성됩니다. 이 코쿤에서는 하나 이상의 지렁이가 부화할 수 있습니다. 부화한 지렁이는 이미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지만, 성장하면서 점차 크기가 커집니다. 비가 오는 동안 표면으로 나오는 것은 지렁이에게 자연스러운 생존 전략 중 하나입니다. 이 시간을 이용해 지렁이는 번식하거나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지렁이가 비가오면 올라오는 이유는 숨을 쉬기 위해서입니다.
지렁이는 피부호흡을 하는 대표적인 동물입니다. 비로 인해 습기가 많아진 흙은 지렁이에게 달라 붙어 호흡을 힘들게 합니다. 따라서 호흡을 방해하는 흙을 털어내고 호흡하기 위해 흙 밖으로 나오는 것이죠.
그리고 지렁이는 일반적으로 습도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땅 속에서 주로 생활하며 흙굴이나 낙엽더미 등에서 서식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환형동물로 곤충과는 거리가 먼 종입니다.
지렁이는 지렁이 자체가 곧 성체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가 오지않는 날에는 토양 아래에서 굴을파 생활합니다.
흙 속에 포함된 유기물을 섭취하는 방식으로 먹이생활을 합니다.
지렁이는 햇빛과 건조한 기후에 약하기 때문에 비가 오는 습한 날에 토양밖에서 해야하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짝짓기나 장소 이동 등을 비가오는 날 밖으로 나와 진행합니다.
또 비가오면 토양에 물이 차면서 외부의 산소가 지렁이의 서식처에 잘 공급되지 않는 것도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지렁이는 짝짓기 후 노란색의 알을 낳으며 약 3주후 알에서 지렁이가 태어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지렁이'는 환형동물문 빈모강에 속하는 생명체이며 평상시에는 땅 속에서 서식하고 있습니다. 폐호흡을 하는 인간과는 다르게 지렁이는 피부호흡을 하는 생명체인데요, 이때 피부호흡이란 피부를 통해 숨을 쉬는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흙 알갱이 틈 사이에 있는 공기(산소)가 지렁이의 촉촉한 피부에 닿으면 녹아서 피부 속으로 스며들어가게 된느 것입니다. 평상시에는 흙 속에 공기층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기로부터 산소를 받아들이지만, 비가 내리게 되면 흙 속으로 물이 스며들면서 공기가 부족해집니다. 이에 따라 숨을 쉬기 위해서 땅 위로 올라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지구 상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 중 하나로 약 5억 년 전부터 존재하고 있습니다. 지렁이는 땅속에서 생활하며 비가 오면 땅 위로 나와 땅 위에서 생활하게 됩니다. 비가 오면 땅이 축축해지고 지렁이가 살고 있는 땅속의 토양도 축축해지기 때문에 지렁이는 땅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그래서 비가 오면 지렁이가 많이 나오는 것이죠.
비가 오지 않는 날에는 지렁이는 땅속에서 생활합니다. 지렁이는 땅속에서 먹이를 찾고 번식하며 생활하며 지낼 수 있도록 토양을 파고 다닙니다. 땅속에서는 습도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지렁이에게는 안정적인 환경이 됩니다.
지렁이는 주로 땅속에서 번식합니다. 지렁이는 몸을 두 개로 나누어 번식하는데 이를 이합체라고 합니다. 이합체는 두 개의 몸이 하나의 몸처럼 연결되어 있지만 각각의 몸은 독립적으로 생각하고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합체는 땅속에서 번식하며 알을 낳고 알에서 부화하여 새로운 지렁이를 낳습니다.
지렁이는 땅속에서 생활하며 땅 위에서도 살 수 있지만 땅 위에서는 쉽게 죽을 수 있기 때문에 비가 오면 땅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그리고 비가 그친 후에는 다시 땅속으로 돌아가서 생활하게 됩니다. 지렁이는 땅속에서 생활하는 동안 미생물과 유기물을 먹으며 토양의 흙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습니다. 이렇게 지렁이는 땅속에서 생활하며 생태계의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렁이는 땅속에서 번식하며 땅 위에서는 비가 오면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지렁이는 땅속에서 먹이를 찾고 생활하며 지낼 수 있도록 토양을 파고 다닙니다. 이렇게 지렁이는 땅속에서 생활하며 생태계의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땅속에서 살고 있으며, 피부로 호흡을 합니다.
비가오게되면 토양에 물이 스며들어 지렁이가 피부로 호흡을 할 수 없게 되어 지렁이들이 땅위로 올라와 많이 보이게 됩니다.
또한, 지렁이는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낳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지렁이는 피부호흡을 하기 때문에 비가 오면 땅이 젖어서 호흡을 하기 힘들어 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면 지표의 토양이 습기를 흡수하고 물이 토양 속으로 스며들어가기 때문에 지렁이들이 지표 위로 올라와 활동하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따라서 비가 오면 지렁이들이 지표 위로 나와 활동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비가 오지 않는 날에는 지하의 토양 속에서 생활하며 먹이를 찾거나 번식을 합니다.
지렁이는 토양 안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로, 주로 강우량에 따라 활동이 달라집니다. 지렁이는 몸이 긴 원통형이며 피부 호흡을 합니다. 비가 오면 지하에 있던 공기가 부족해져 지렁이가 지표면으로 올라오게 됩니다. 이는 지렁이가 공기 부족을 해결하고자 하는 행동입니다. 또한 비가 오면 지표면의 수분이 증가하여 지렁이의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비가 오지 않는 날에는 지표면 아래 5-10cm 정도의 깊이에서 서식하며, 유기물을 섭취하며 생활합니다. 지렁이는 다른 동물의 알에서 부화하지 않고, 성체 암컷이 흙 속에 알을 낳아 알에서 새끼 지렁이가 부화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