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흡족한박새134
흡족한박새13424.02.18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 어떤게 있을까요?

나이
44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역류성 식도염 걸린주변인을 종종 보게 된는데요..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하기위해서 생활습관으로 가져야되는 관리방법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가장 중요한건 과식하고 바로 눕지 않은게 중요합니다. 복압을 올리는 꽉끼는 옷을 피하고, 커피등 식도조임근을 이완시키는 음식을 피하는게 좋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에 대하여 최대한 예방을 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시도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1) 건강한 체중까지 체중을 감량하고 그 체중을 유지한다.

    2) 꽉 끼는 의류의 착용을 하지 않는다.

    3) 금연한다.

    4) 수면을 하거나 하는 등 누워있을 경우 머리 부위를 높이는 자세를 취한다.

    5) 식사를 할 때 급하게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고, 식사를 천천히 하면서 음식물을 충분히 씹어준다.

    6) 위산의 역류를 유발하는 식음료를 피한다. 고탄수화물 및 고지방 음식 등을 피해야 하는데 대표적으로 패스트 푸드나 튀긴 음식 등이 있다.

    7) 식후에는 얼마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눕는 습관을 버린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역류성식도염을 유발하는 생활습관으로는 식후 2-3시간 이내에 눕는 것, 과식하는 습관, 비만한 경우, 카페인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경우 등의 것들이 있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치료 기본 원칙은 생활 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과식을 피하고, 특히 밤참이나 야식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식사 후에는 즉시 누워서는 안 되며, 식사 후 몇 시간 동안은 몸을 일으켜 앉거나 걷는 것이 좋습니다. 기름진 음식, 술, 담배, 커피, 홍차, 박하, 초콜릿 등을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칼슘통로차단제, 수면제, 통풍 약 등 다른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하부식도 괄약근 압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신 과일 주스, 토마토, 탄산음료 등 식도 점막을 자극하는 음식을 피해야 합니다. 비만인 경우 체중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옷을 너무 타이트하게 착용하지 않고, 몸을 숙이는 행동을 피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만약 약물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거나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제산제, 위산분비 억제제, 장운동 촉진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여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치료는 수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위식도 역류성 질환은 증상이 호전될 수 있으며, 만약 심한 경우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