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머쓱한라마카크61
머쓱한라마카크61

100일 갓 지난 아기가 잠 자는 걸 무서워하는 건가요?

잠이 들려고만 하면 스스로 잠을 떨쳐 버리려는 것 같아요. 빨던 손가락도 빼고 우네요. 자는 게 무서운 거라면 올바른 대처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잠을 자는 것을 두려워 할 때에는 주변에 아이에게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애착 인형등을 놓아주시고 부모가 옆에서

      목소리를 들려주시면서 안정을 취하게 해주시면 수면에 도움이 됩니다.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가 100일이 지난 후 잠을 자는 것을 무서워하는 경우, 이는 여러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아기는 외부 자극에 매우 민감하고, 수면 패턴이 불안정할 수 있으며, 환경 변화나 부모의 감정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아기가 잠들려고 할 때 손가락을 빼고 우는 행동은 잠들기 전에 불안감을 느낄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아기를 부드럽게 안아주고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자는 데 도움이 되는 리듬감 있는 백색소음이나 부드러운 음악을 틀어주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낮 동안 아기와 충분한 시간을 보내고, 안정적인 일상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아기의 수면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기가 잠을 자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지속되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낮잠을 잘 자야 밤잠도 잘 잡니다. 낮에 외출을 해서 낮잠을 안잔 경우 밤잠도 안자는 경우가 많아요. 수면은 타이밍이 중요한데 그 타이밍을 부모가 잘 맞춰줘야 합니다. 수면의식을 만들어 아이가 루틴을 통해 진정되고 이완돼서 수면에 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게 중요해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냥잠이 익숙하지않아서그럴수있기에 안아주고다독며 재워주시면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잠자는것에 대해서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그럴수있습니다

      적절한 수면교육을 해주시다보면 점차 적으로 익숙해질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백일 정도 까지는 아기가 쉽게 잠이 들지 않는 것 같습니다

      방안 분위기를 조금은 어둡게 하고, 주변을 조용하게 해주는 것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잠이 충분히 들 수 있도록 수유도 충분히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는 어른이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피로를 쉽게 느끼기 때문에 어릴 수록 심하고 생후 6개월 미만의 아기는 잠을 자고 깨서 최대 2시간이 지나면 다시 자야합니다.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어떤 아기는 1시간만 지나도 지나치게 피곤을 느끼기도 합니다. 아기가 잠 오는 신호는 하품, 눈 주변이 붉어짐, 눈과 얼굴 비빔등이 있는데요 이 수면신호를 잘 파악하셔서 신호가 오면 바로 재우는 것이 잠투정을 방지하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아이의 타이밍을 잘 살펴봐주시고 아이가 타이밍에 맞게 잠을 잘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그리고 잠을 잘 때 분위기는 어두운 분위기로 조성해주시고 자장가를 불러주시며 다독다독 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가 우는 이유는 여러가지 원인여부를 체크해보실수 있습니다.


      배가고픈지.졸리운지, 춥거나

      더워도, 기저귀가 축축해도, 아파도 ,코가 막혀도 울어요.


      아기가 분유먹을때가 된건지 체크해보시고요.. 하나하나 체크해서 이상없다면

      졸리운데 잠이 못드는 잠투정이 아닐까 싶습니다 ..아기를 안고 토닥토닥 재우신후 다시눕혀 재워보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 또는 어린 영아들이 깊은 잠을 자지 못하는 이유는 엄마 뱃속에 있을 때와 밖으로 나올 때의 환경 차이가 너무 크니 자주 깨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또는 잠을 조절하는 중추 신경이 아직 발달하지 못해서 자주 깨기도 합니다.

      생후 4개월 이후가 되면, 잠을 조절하는 중추 신경이 발달하기 때문에 통잠도 잘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직까지는 정상적인 수면 패턴을

      찾기 힘들 것이에요

      그래서 이런 것을 보이는 것으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안아주시고 수면교육을 시켜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잠자는 것을 무서워하기 보다

      아직까지 수면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토닥여주시는 등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