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측의 일방적인 취소가 우리나라한테 불리한건가요?
미국의 한미 재무, 통상 수장 간의 2대 2 관세 협상이 베센트 재무장관에게 긴급한 일정이 생겼다는게 이유로 미국 측의 일방적인 관세협상 취소가 우리나라한테 불리한건가요?
미국이 일방적으로 관세 협상을 취소한 건 우리나라에 불리할 수 있어요.
협상이 무산되면 무역이나 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미국과의 신뢰도 떨어질 수 있거든요.
특히 중요한 협상이 갑자기 취소되면 우리 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앞으로 협상 재개도 어려워질 수 있어요.
그래서 이건 우리나라에 유리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2 관세 협상을 미국이 일방적으로 취소한것은 우리나라에 불리한 조건이 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적 타이밍 조절로 해석되는데 실제 관세 협상 일정은 미공개로 심리전 가능성이 높고 우리나라에 더 많은 협상 카드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미국 농산물, 보잉 항공기, 에너지 등 미국산 제품 구매 요구가 더 심해지고 548조 투자 제안에도 불구하고 일본 보다 부족한 조건으로 인식 돼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8월 1일 안에 관세 협상이 되지 않으면 자동차부터 타격이 불가피하게 됩니다.
네 그렇죠 지금 일본도 가까스로 협상하고 관세를 내린 상황이고 우리에게도 관세가 많이 붙은 상황인데 이것을 협상으로 내려보고자 계속해서 시도하는데도 미국이 일방적으로 취소를 하고있으니 미국에서 때린 관세를 그대로 적용 받게 생겼습니다.
당연히 우리나라에서 수출업에 의지하는 여러 사업들이 제대로 돌아갈리가 없고 우리나라 경제에 안좋은 영향이 갈수밖에 없으니 심각한 사안인거죠.
무엇보다 계속해서 우리나라를 무시하는 행동을 하고있는 미국도 문제고요.
우리나라에게 불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수입 흑자국이고 급한것은 우리나라인데 일방적인 협상 취소라는 것은 미국측의 협상 전략이라고 보면 될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