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23.02.19

불이 위를 향해 번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불이 나는 것을 보면 항상 위를 향해 번지는 것 같습니다.

그런 이유가 무엇인가요?

불은 아래로는 퍼지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불은 위로 번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1. 공기의 밀도 차이 불은 공기의 밀도 차이 때문에 위쪽으로 번집니다. 불이 일어나면 주위 공기는 열을 받아 팽창하고 가벼워집니다. 그 결과 더 차가운 밀도가 높은 공기보다 가벼운 밀도가 낮은 공기가 밀도 차이로 인해 아래로 떨어지면서, 가벼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따라서 불은 위로 번져나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열기전 불은 열기전을 일으키기 때문에, 불이 번지는 방향에 따라 온도가 점점 낮아지게 됩니다. 그 결과, 불은 일정한 패턴으로 번지는 것이 아니라 불규칙하게 번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열기전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3. 인접한 물체와의 상호작용 불이 번지는 방향은 불과 인접한 물체와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됩니다. 불은 연소하는 물질의 종류와 양, 공기의 상태, 환경 온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불과 인접한 물체들은 불의 열과 연기, 그리고 열기전 등의 영향을 받아 불과 상호작용하면서, 불이 번지는 방향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불은 아래쪽으로는 퍼지지 않으며, 위쪽으로 번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불이 일어난 장소와 주위 환경, 불의 세기와 방향 등에 따라 불이 번지는 패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이 위를 향해 퍼지는 이유는 불은 산소를 연소하며 탑니다

    그런데 공기는 더워질수록 가벼워져서 위로가는 성질이 있는데요

    불은 이 더워진 공기를 따라 위로 타들어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이 탈 때면 많은 열이 나옵니다.
    이 열은 공기를 가열시키고, 뜨거워진 공기는 부피가 커지게 되지요.

    그러면 주변보다 밀도가 낮아져 가벼워지게 되고, 그 공기가 상승 기류를 만들어 불
    꽃의 방향을 위로 끌어올리게 된답니다.

    즉, 불이 항상 위를 향해 타는 이유는 열로 인한 공기의 밀도 차 때문이지요.

    무게의 개념이나 밀도 차가 없는 무중력 상태인 우주에서는 지구에서처럼 눈물 모양으로 위를 향해 타는 게 아니라 완벽한 구형으로 타오른답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굉장히 신선한 질문이라 생각합니다

    정답이 아닐수 있겠지만 과학적인 접근으로 답변드려보겠습니다.(가설)

    불이 붙는다는 건 결국 "산소와 결합"한다는 겁니다. 따라서 땅에서 불이 나면 불이 산소가 많은 방향으로 붙게 됩니다

    그래서 하늘의 향해 붙을것 같습니다.

    두번째, 불이 붙는 과정에서 결과물로 CO2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이는 산소보다 무겁습니다

    .그래서 이상화탄소가 바닥에 상대적으로 깔리고 산소는 위쪽에 모여있게 되어 계속 위쪽 방향으로 불꽃이 움직이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다른 분들의 대답도 참 궁금하네요!